경제·금융

8일 재개 6자회담 장밋빛 전망 잇따라

'핵폐기' 합의 이룰지 주목…北 '패키지 딜' 수용 기대감

오는 8일 재개되는 제5차 6자 회담 3단계 회의를 앞두고 ‘장밋빛 전망’이 잇달아 나오고 있어 ‘(북핵 폐기)초기단계 이행조치’에 합의를 이룰지 주목된다. 물론‘북핵 폐기’라는 최종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최소한 원칙확인 등의 ‘발판’은 마련될 것이라고 당국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는 회담 참가국 대표들의 발언에서도 확인된다. 미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지난 1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담에서 진전을 이룰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믿는다”며 “전면 비핵화를 이룰 수는 없겠지만, 실질적 시작에 들어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시오자키 야스히사 일본 관방 장관은 2일 “북한이 재개되는 6자 회담에서 구체적 진전을 도출해 낼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의장국인 중국 우다웨이 외교부 부부장도 이에 앞선 지난달 31일 “차기 회담은 지난해 12월 회담에 비해 순조롭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긍정적 흐름이 형성된 데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 북한이 ‘핵 폐기 논의’전제조건으로 내건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에 대해 유연성을 보이며 초기 조치와 상응조치를 묶은 ‘패키지 딜’의 수용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다. 지난달 31일 북ㆍ미 BDA 2차 실무협의 종료 후 대니얼 글레이저 미 재무부 부차관보는 “BDA 문제에 대한 모종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진전을 이루기 시작할 상황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즉 BDA 내 동결계좌에 대한 미측 추적 결과를 북한이 어느 정도 확인해 주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북한의 대미(對美) 인식 변화도 주 원인으로 꼽힌다.‘북ㆍ미 관계 정상화’문제에 대해 양측이 상당부분 공감대를 형성한 만큼 굳이 핵 무기를 고집해 국제적 고립을 자초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