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100주년 농진청 수요자 중심 개편 추진

올해 100주년을 맞이하는 농촌진흥청이 농업인등 현장 수요와 동떨어져있다는 그동안의 비판을 수용, 수요자 중심 기관으로 조직혁신을 추진한다. 또 농진청은 생산기술 위주인 현행 체계가 농산물 가공.유통, 농촌의 다원적 기능 등까지 아울러 연구할 수 있도록 농촌진흥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식 농촌진흥청장은 9일 과천 정부청사 브리핑룸에서 "농진청이 최근 10여년동안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지만 수입개방 확대 등으로 농업.농촌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고 국민들이 더 많은 노력과 개혁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이런 내용의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혁신방안의 가장 큰 기조는 연구개발 사업 등을 수요자 중심으로 바꿔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지원하고 찾고 싶은 농촌을 위한 기술 개발과 보급에 적극 나서겠다는 것이다. 특히, 농진청은 연구결과에 대한 기관평가를 100% 외부전문가에 의해 실시하고연구관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성과 평가를 거쳐 평가점수가 낮으면 연구관 직위에서퇴출시키는 연구관 일몰제를 새로 도입하고 승급제한제도 적용할 계획이다. 또 농촌진흥기관에 대한 변화되는 수요에 맞춰 농촌진흥법을 개정하고 농업유전자원의 중요성 확대에 따라 농업유전자원의 종합관리를 위한 법률 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농진청은 이날 농업과학기술 개발보급의 4대 기본방향으로 현장밀착기술, 정책맞춤 지원기술, 성장동력창출형 기술, 농업 과학기반 구축 등을 설정, 제시했다. 또 이를 뒷받침할 7대과제로 농업현장과 함께하는 연구개발, 맞춤형 농촌지도사업, 수요자 중심 조직개편, 전면 경쟁체제 도입, 고객 서비스 강화, 농업과학기술에대한 마케팅 기법 도입, 법령 정비를 제시했다. 김 청장은 "전신인 권업모범장이 1906년 출범한 이래 올해로 100주년을 맞게 되는데 따라 오는 7월 다양한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며 "자체 개발한 벼 품종이 국내논의 98%를 차지할 정도로 농진청이 신품종 육성 등의 분야에서 크게 기여했지만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