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해군함정 증파 통해 해적 피해 막아야"

정부의 보다 적극적 대응 필요 목소리 모아

삼호주얼리호 피납과 관련해 해적 피해 방지를 위한 국내 선사 사장단 긴급회의가 열렸다. 18일 오후 국토해양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 회의에는 해적이 활동하는 위험해역을 운항하는 42개 선사 사장을 비롯해 국토해양부, 선주협회, 선박관리업협회 및 노조 대표가 참석했다. 정종환 국토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선사들이 위험 지역을 운항할 때 보안요원을 탑승시키고, 선원들이 긴급히 몸을 피할 대피처를 모든 선박에 설치토록 하는 등 해적 공격에 대응할 환경을 갖춰 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보안요원 탑승과 선원 대피처 설치는 선사들이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사안인 데 선사들이 비용 탓에 꺼려왔다"며 "우리나라 선원들이 탄 선박이 해적의 표적이 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시행을 부탁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 보안요원 탑승과 선원 비상대피처 설치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영세 선사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이 커서 이를 따르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보안요원을 배에 동승하는 것은 국제적으로도 논란이 될 수 있다. 영국은 해적과 만났을 때 위험을 키울 수 있고, 무기소지 자체가 해적을 유인하는 또 다른 요인이 될 수 있어 선박ㆍ인명보호를 위한 무기소지를 금지하고 있다. 군ㆍ경 무장요원의 탑승은 상선으로서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는 상황이다. 소말리아 해역을 통과할 때 용병을 고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일주일 기준에 배 한척당 10만~50만달러가 들어 중소형 업체가 감당하기 어렵다. 자체공기정화기, 비상식량, 선박 원격 조정장치 등을 갖춘 선원대피처(citadel)를 설치해 해적들로부터 선원들이 피신해 구출작전을 벌이는 것도 선사의 부담이 크기는 마찬가지다. 현재 인도양, 아덴만 등 위험해역을 운항하는 선박 280척 중에 비상대피처가 설치된 선박은 40%인 111척에 그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선사 사장단은 해군함정 증파 등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를 정부에 요청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