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4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

올해 2.4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지난해 동기 대비 6.2% 증가, 증가율이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산업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12일 밝혔다.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지난해 2.4분기 12.4%, 3.4분기 10.6%, 4.4분기 8.8%, 올해 1.4분기 7.7%였다. 올해 2.4분기 노동생산성이 증가한 것은 산업생산이 작년동기 대비 3.9% 증가한데 비해 노동투입량은 작년동기 대비 2.1%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산출량(산업생산)은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트레일러, 영상.음향. 통신장비, 기타 운송장비 등의 지속적인 생산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3.9% 증가했다. 반면 제조업의 고용흡수력 약화에 따라 노동투입량은 근로자수(-2.0%)와 1인당근로시간(-0.1%)이 모두 감소해 작년동기대비 2.1% 감소했다. 내수경기가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근로시간 감소세는 완화됐으나 고유가 지속 등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근로자수 감소세는 확대됐다. 노동생산성을 산업부문별로 보면 정보기술(IT) 부문의 노동생산성은 11.2%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비IT부문은 4.0% 증가에 그쳐 7.2%포인트의 생산성 증가율 격차를 보였다. 중화학공업과 경공업부문은 각각 5.9%, 3.1% 증가해 2.8%포인트의 생산성 증가율 격차를 보였다. 기업규모별 노동생산성은 대기업이 작년동기대비 9.5%, 중소기업이 0.8% 증가해대.중소기업간 생산성 증가율 격차는 다소 완화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증가율 격차는 지난해 3.4분기 12.4%포인트, 4.4분기 15.2%포인트, 올해 1.4분기 17.1%포인트였다. 특히 1.4분기에 감소세로 전환(-1.6%)되었던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다시 증가세로 바뀌었다. 올해 2.4분기 제조업 단위노동비용(시간당 명목임금/노동생산성)은 작년동기대비 3.9% 증가해 작년 4.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상승했다. 이는 노동생산성이 6.2%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간당 명목임금(10.3%)이 크게상승해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4.1%포인트 상회한데 따른 것이다. 올해 2.4분기 제조업 시간당 실질임금은 작년동기대비 7.1% 증가해 실질.명목임금 모두 노동생산성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IT부문의 단위노동비용은 노동생산성이 큰 폭으로 증가해 0.5% 증가에 그친 반면, 비IT부문의 단위노동비용은 5.6% 증가했다. 중화학공업과 경공업 부문의 단위노동비용은 작년동기대비 각각 4.1%, 5.7% 증가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단위노동비용은 각각 5.2%, 7.2% 증가해 대.중소기업간 단위노동비용 격차(2%P)가 전분기(8.8%포인트)보다 크게 축소됐다. (서울=연합뉴스) 현경숙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