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고인이 보낸 의문의 외환銀 팩스 진실은?

고인이 보낸 의문의 외환銀 팩스 진실은?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관련기사 • 외환銀 매각논란… KIC로 불똥튀나 • "外銀 매각기준가 최대 1조원 낮게 산정" • "외환銀 매각 감사결과 결합심사에 영향 없어" • 외환銀, 현대건설 매각제한 해제지분 처분 • [사설] 외환은행 '헐값매각'이 남긴 교훈 • 외환銀 부적격 론스타에 헐값 매각 금융감독위원회.금융감독원이 2003년 외환은행 매각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자료 역할을 했던 팩스 5장을 보낸 사람은 도대체 누구였을까. 20일 감사원과 은행업계에 따르면 팩스 송신자의 죽음으로 미궁속으로 빠져들었던 이 문건은 결국 외환은행에서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발송된 것으로 확인됐다. 2003년 7월21일 9시55분. 이제는 고인이 된 외환은행 허모 전 차장은 금융감독원에 팩스 5장을 보냈다. 해당 팩스는 추가 부실액이 가장 많게 계상돼 추후 외환은행의 BIS 비율이 낮게 산정되는 근거로 활용됐다. 결국 해당팩스 5장이 외환은행 헐값매각의 결정적인 근거자료가 된 셈이다. 항간에는 외환은행 임직원 중 한 명이 명동 지역에 비밀 사무실을 차려놓고 해당 팩스를 보냈다는 소문, 론스타가 이 과정에서 관여했다는 풍문까지 돌았다. 더 의문을 키웠던 것은 팩스의 상단부에 위치한 팩스 국번. 팩스를 보냈던 허모 차장이 일했던 경영전략부의 팩스 국번은 775, 경영전략부태스크포스팀은 777번, 재무기획부 번호는 775와 319번이었지만 의문의 팩스 국번은729번이었다. 문제는 의문의 팩스에 대해 규명해줄 수 있는 송신자인 허 모 차장이 지난해 8월 간암으로 이미 세상을 등졌다는 점이었다. 이로 인해 한 때 금융가에선 2003년 매각과정에서 관여한 일부 외환은행 임직원들이 잘못을 허 모 차장에게 모두 떠넘길 수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됐었다. 그러나 감사원 조사를 통해 이같은 의문은 허망하게 풀렸다. 송고된 팩스의 원래 번호는 775-2582번이었지만 이 팩스는 내용을 송고할 때 '02729'가 찍히도록 설계돼 있다는 것이다. 감사원이 시험삼아 해당 기계에서 팩스를 전송해본 결과 팩스 문서 상단에 '02729'가 선명하게 새겨졌다. 이 팩스에 포함된 대부분의 수치가 외환은행 내부 자료에 근거했으며 허 모 차장의 상급자인 전용준 당시 외환은행 부장도 팩스 송부 사실을 보고 받았다고 조사에서 진술했다. 감사원의 이번 조사 발표로 억울하게 씌워졌던 허 모 차장의 혐의는 풀리게 됐다. 아울러 억울함 때문에 언론 접촉을 피하고 전화번호까지 바꿔버린 유족도 이제 제자리를 찾을 수 있게 됐다. 입력시간 : 2006/06/20 08:5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