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민銀·하나금융M&A 실무진 신경전도 '불꽃'

외환銀 인수 강력 후보…양측 기업 인수·합병 경험면선 실력 대등<br>사내 최고 전문가들 발탁 싸움 채비 마쳐

2002년 10월 하나은행이 서울은행 인수를 위해 통합추진위원회를 발족할 당시 김승유 하나은행장(오른쪽)과 강정원 서울은행장이 악수하고 있다.

외환은행 인수전의 강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국민은행과 하나금융지주가 기업 인수ㆍ합병(M&A) 경험 면에서도 각자 뒤지지 않은 실력을 보유하고 있어 이들 간의 신경전도 예사롭지 않다. 국민은행과 하나금융지주 모두 그 동안 국내에서 이뤄진 은행간 M&A를 실무적으로 다룬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외환 인수전에 먼저 출사표를 던진 하나금융지주는 보람ㆍ서울은행을 합병하는 과정에서 은행 M&A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일찌감치 확보했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 게다가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보람ㆍ서울은행 인수팀이 그대로 외환은행 인수전에도 나설 채비를 갖추고 있어 M&A관련 인력의 우수성면에서는 어느 경쟁 상대에게도 뒤지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에 맞선 국민은행의 경우도 만만치는 않다. 이미 장기신용은행과 주택은행의 M&A경험이 있는데다, 강정원 행장의 경우 하나은행이 서울은행을 합병할 당시 피인수 대상이었던 서울은행의 행장이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만큼 하나금융지주의 전략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게 금융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강 행장은 서울은행이 하나은행에 매각되는 과정에서 서울은행의 대주주였던 예금보험공사가 제시한 구조조정방안 이행과 서울은행 노조의 반발에 적절하게 대응하며 큰 무리없이 M&A를 성사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금융권의 관심은 외환은행이 매물로 나오면서 강정원 행장과 김승유 회장이 양자 경쟁구도의 수장으로 각각의 전략을 총지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하나은행이 서울은행을 인수할 당시 김 회장과 강 행장 모두 예금보험공사가 대주주인 서울은행에 대해 협력적이고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대화가 가능했던 사이였다. 하지만 이번에는 경쟁자로서 생사를 건 싸움에 나서게 됐다. 이번 경쟁의 최대 관전 포인트는 국내 은행권의 M&A전문가로 꼽히고 있는 김 회장과 강 행장이 외환은행 인수 후 시너지 효과를 얼마나 창출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게 금융권의 분석이다. 에 오른 것이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김 회장과 강 행장은 각각 사내 최고 M&A전문가를 참모로 기용하면서 외환은행 인수전에 결사항전 자세를 취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주택은행 인수 시 실무역할을 담당 했던 이동철 뉴욕 지점장을 최근 귀국시켰고, 하나금융지주는 서울은행 인수 때 활약한 김병호 뉴욕지점장을 지난해 6월 불러들여, 상무로 전격 승진 발령했다. 이에 따라 이번 외환은행 매각 건은 은행권 M&A의 선두주자로 꼽히고 있는 강 행장과 김 회장 중 누가 승리할지 여부가 금융권의 재미있는 관심거리로 거론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