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자산 가진 사람이 이득봐야"

박승 한은총재 강조 "부동산보다 손해면 중앙銀 책임"

박승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자산을 보유한 사람이 부동산에 투자한 사람에 비해 손해를 보도록 해서는 안되며 만일 그러한 일이 벌어진다면 이는 중앙은행의 잘못이라고 강조했다. 박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 이어 가진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자산거품 발생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만일 자산거품 현상이 생긴다면 “주가가 먼저 오르고 다음으로 부동산 가격이 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자산을 가진 사람이 부동산에 투자한 사람보다 손해를 본다면 잘못된 것이며 이는 중앙은행의 정책적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박 총재는 “금융자산을 가진 사람이 이득을 보도록 정책을 펼쳐야 국가적으로도 자금동원과 순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후진국의 경우 부동산 위주로 자산관리가 이뤄지는 데 반해 선진국은 금융자산 위주로 자산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선진국 흐름을 따라야지 뒤바뀌면 안된다고 박 총재는 강조했다. 박 총재는 이와 함께 금융시장도 안전자산에 몰리는 현상이 지나치지만 실물경기가 정상화되면 자금이 위험자산 쪽으로도 분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총재는 현재 은행에서 예금이 이탈하고 대출증가세가 둔화되는 반면 채권시장이 과열되고 있으나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며 그 책임은 중앙은행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실질금리의 마이너스 현상이 오래 지속되는 것은 좋지 않다면서 초저금리 현상으로 인해 자산거품 현상이 생기면서 주가,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는 상황이 얼마든지 다시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