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인민은행장, 환율변동폭 확대 시사

인플레·통상 압력 적극 대처 의지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행장의 18일 위안화 환율 변동폭 확대 발언은 자국의 인플레이션 위협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미국ㆍ유럽 등 해외로부터의 평가절상 압력을 회피하기 위한 시도라고도 해석된다. 중국 중앙은행이 그동안 고수해온 위안화 점진적 절상 방침을 탈피하겠다고 한 것은 무엇보다 점증하는 인플레이션을 걱정했기 때문이다. 위안화 강세 속도가 달러 약세보다 느리면서 수출이 크게 늘고 이에 따라 막대한 자금유입으로 중국 내 유동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올 들어 지난 10월까지 중국 무역흑자는 2,123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면서 지난 한해 1,775억달러를 훨씬 넘어섰다. 상대적으로 평가절하된 위안화 환율이 주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주요 6개국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 변동지수인 DXY는 올 들어 무려 11.5% 하락했지만 달러 대비 위안화는 5.1% 상승에 그쳤기 때문이다. 해외로부터의 유동성 유입 증가는 곧바로 중국 내 물가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10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6.5%나 오르면서 올 들어 평균 4.5% 증가했다. 이와 함께 미국ㆍ유럽 등의 통상압력에 대처하겠다는 이유기도 하다. 무역적자에 시달리는 이 나라들이 잇따라 위안화 절상 속도를 높이라고 압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5월 0.3%에서 현 0.5%로 환율 변동폭을 확대했는데 이는 14년 만의 첫 조정이다. 다만 변동폭 확대가 위안화 절상 속도를 높인다는 의미에서 중국 당국이 실제 행동에 나서기에는 장애요인도 많다. 우선 중국 경제의 성장엔진인 수출이 직격탄을 받을 수 있다. 고용 등 국내의 정치ㆍ사회적 안정을 위해 수출 등을 통한 고도 경제성장이 절실한 중국 당국으로서는 이것이 자해행위나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저우 행장이 위안화 환율 변동폭 확대를 검토하면서도 “지금의 환율 변동폭에 문제가 없다”며 환율 변동폭의 확대 일정을 제시하지 않은 것은 통화주권 고집 외에 이런 경제적인 어려움을 의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