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일 갈등 장기화 땐 중국 실업대란 우려

일본 기업 무더기 철수로


중일 갈등 지속되면 '中 대란' 터진다
중일 갈등 장기화 땐 중국 실업대란 우려일본 기업 무더기 철수로

베이징=이병관특파원 yhlee@sed.co.kr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중일 간 영토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일본 기업의 무더기 철수로 실직대란이 일어나며 중국경제도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일본 기업은 자동차ㆍ가전ㆍ의류 등 전업종에 걸쳐 2만개가 넘고 이들이 고용한 중국인 노동자는 1,000만명 이상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일본 기업의 중국 내 영업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할 경우 문을 닫는 기업들이 속출하면서 농민공의 대량 실직사태가 발생하고 이는 경제 충격파를 넘어 심각한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11일 상하이 KOTRA에 따르면 혼다는 지난 9월 판매량이 3만3,900대로 전년동기 대비 40.5%나 급감하자 일부 공장 가동중단 및 감산에 나섰다. 이에 따라 관련 근로인력 1만5,000명도 일감을 얻지 못하고 실직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요타도 9월 판매량이 전년동기 대비 48.9%나 줄자 일시적인 공장 가동중단을 넘어 구조적인 감산도 심각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는 물론 전자ㆍ의류ㆍ식품 등 노동집약적 일본 기업들의 중국 매출도 크게 줄고 있다. 전자업체 샤프는 판매급감으로 7월 8.8%이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이 9월 들어 4.7%로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의류업체 유니클로는 중국 내 165개 매장 중 지난달 60곳의 영업을 중단했고 지난달 14일 이후 중국 판매가 당초 목표치보다 20% 줄어들었다. 영토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이들 기업 근로자의 고용불안 우려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이미 일본 기업들은 대졸인력 신규 채용을 속속 중단하고 있다. 이날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일본 기업들이 중국 인재 유치를 위해 계획한 대학 취업설명회가 대부분 취소됐다. 베이징대ㆍ칭화대 등은 일본 기업들이 취업설명회 취소를 통보했다고 밝히고 상황이 바뀌면 오는 12월 취업설명회가 열릴 수도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개최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또 중국의 전자ㆍ자동차 등 기간산업에 해당하는 주요 기업이 상당수의 일본 부품을 현지에서 조달하거나 수입하고 있어 일본과의 관계가 악화하면 부품공급에 상당한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 2001년 3월의 일본 후쿠시마 지진사태 때 일본의 전자부품 생산라인이 가동을 멈춰 이들 부품의 공급이 중단되면서 중국 기업이 직격탄을 맞은 바 있다. 중일갈등이 증폭되면 일본경제가 더 큰 타격을 입겠지만 중국의 피해도 만만치 않다는 얘기다.















이병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