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엔고 암초' 일본차 수출 급브레이크

기존 차량은 팔아봐야 손해<br>신차 가격책정도 쉽지 않아 <br>유럽·美로 수입다변화 나서


'엔고 암초' 일본차 수출 급브레이크 기존 차량은 팔아봐야 손해신차 가격책정도 쉽지 않아 유럽·美로 수입다변화 나서 김광수기자 bright@sed.co.kr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에서 벗어나 하반기 대반격을 노렸던 일본 차업계가 엔화 강세라는 뜻하지 않은 암초를 만났다. 천정부지로 오르는 환율에 기존 차량은 팔아도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가 돼버렸고 올해 말까지 내놓을 신차는 가격 책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환율 인상에는 완성차업체가 쓸 수 있는 마땅한 대안도 없어 일본 차의 하반기 공세는 수포로 돌아갈 공산이 커졌다. 21일 외환시장에서 원ㆍ엔 환율은 꾸준히 오르며 이날도 1,500원을 넘어섰다. 그리스에 이어 이탈리아의 신용등급이 강등되면서 두 달여 만에 무려 200원이나 오른 것이다. 일본 차업체들은 환율 예측이 완전히 벗어나자 전략 수립에 차질을 빚고 있다. 한국닛산은 4ㆍ4분기 원ㆍ엔 환율 전망을 100엔당 1,357원으로 잡았지만 이미 10% 이상 초과한 상태다. 한국닛산은 지난 8월 큐브를 출시하면서 2,190만원과 2,490만원이라는 낮은 가격을 책정해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엔고가 이어지면서 마냥 웃지만은 못하고 있다. 원화로 받은 차량대금을 값이 오른 엔화로 바꿔 본사에서 차량을 들여와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달부터 CR-Z, 신형 시빅을 잇따라 출시하는 혼다코리아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혼다코리아는 민간 경제연구소가 전망한 환율 예상치에 맞춰 전략을 수립해왔는데 이미 적정선을 넘어섰다. 본사에서 차량을 들여올 때 원화 결제를 하는 한국도요타는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지만 새롭게 출시할 차량의 가격 책정에는 고심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일본 차업계는 '메이드 인 재팬'이 아닌 미국이나 유럽에서 생산된 모델의 수입을 적극 고려하고 있다. 한국도요타가 오는 11월 국내에 출시하는 7인승 프리미엄 다목적차량(MPV) 시에나는 미국 조지아공장에서만 생산되는 모델이다. 한국도요타는 또 최근 공개한 신형 캠리도 조지아공장에서 수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한국도요타의 한 관계자는 "엔고현상 등을 감안할 때 미국에서 만들어진 모델을 국내로 들여오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혼다코리아도 7월 정우영 사장이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에서 수입을 검토해나가겠다"고 밝히는 등 수입선 다변화를 모색 중이다. 이와 관련, 혼다코리아는 영국 스윈던공장에서 생산된 준중형 시빅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CR-V 수입을 고려하고 있다. [IT·과학&자동차] 앗! 내가 몰랐던 정보들도 가득!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