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기업 총수 편법 더 이상 용납 못해

여 "CJ 등 엄정 수사를"… 대기업 정도 경영도 압박

새누리당 지도부가 CJ그룹 해외 비자금 조성 의혹과 대기업 오너 및 임원의 해외 조세피난처 페이퍼컴퍼니(실체 없이 서류로만 있는 회사) 설립 등이 사회 문제로 확산되자 일제히 "대기업 총수의 편법에 대해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검찰의 재벌 수사에 대해 "박근혜 정부에서는 '유전무죄'식 불공정은 통하지 않는다"며 "경제 정의에 반하는 일은 반드시 뿌리 뽑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의 CJ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 수사 등에 대해 "기업 때리기가 아니라 엄정하고 신속한 수사로 나라의 근간을 흔드는 탈세 등 불법 여부를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이어 "대기업 총수와 관계자들의 도덕적 해이 관련 뉴스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며 "계열사에 편법으로 일감을 몰아줘 과도한 개인적 이익을 취하는 것은 더 이상 용납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지난 15일 선출된 후 '경제를 살리는 경제민주화'를 내세우며 재계 옥죄기에 거리 두기를 해와 재벌 총수와 대기업의 불법에 대해서는 분리 대응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정우택 최고위원도 이날 회의에서 "대기업 24곳이 조세피난처에 5조7,000억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대기업 집단의 정상적인 글로벌 경영에 대해 탈세라고 몰며 마녀사냥식 여론몰이는 경계해야 한다"면서도 사실상 CJ그룹을 겨냥해 "C 기업처럼 탈세 목적으로 하는 기업도 있는데 대기업이 법과 제도를 피해 비자금을 조성하고 사익을 편취하는 것을 근절하는 것이 경제민주화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이혜훈 최고위원 역시 "과세 당국과 금융 당국은 조세피난처에 세운 오너와 관련자들의 범법행위 여부를 면밀히 따져 법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해야 한다"면서 "관련자가 재벌 총수든 실세 정치인이든 전직 대통령이든 성역이 없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대기업에 '정도경영'을 강하게 압박한 인사들이 모두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원조 친박'인 점도 관심을 끌었다.

관련기사



여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집권 초기부터 대기업과 재벌 오너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원칙대로 대응한다는 기조에 청와대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전하며 "새 정부에 중요한 6월 국회를 앞두고 야당의 경제민주화 공세에 위축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