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金노동 "法기반 勞使타협 최대도출"

비정규직 IMF후 과다양산 차별 시정해야

金노동 "法기반 勞使타협 최대도출" 비정규직 IMF후 과다양산 차별 시정해야 "법과 원칙의 테두리속에서 노사간 대화와 타협을 도출해내겠다는 것이 참여정부 노동정책의 기본방향이다" 김대환 노동부장관은 20일 취임 100일을 맞아 첫 기자회견을 갖고 참여정부의 노동정책기본방향을 이같이 밝혔다. -국회 과반수 의석을 확보한 참여정부의 노동정책 기본방향은 무엇인가. ▦법과 원칙, 대화와 타협을 같이 가져가겠다. 외환카드 합병과정과 최근 타결된 타워크레인노사문제도 사실 이런 원칙이 적용된 것이다. -정부가 19일 발표한 공공부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정책에 대해 재계와 노동계 모두 반발하고 있는 상황을 어떻게 해석해야 되나. ▦양측 모두 겉과 달리 내심은 균형잡힌 정책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 공공부분의 정규직전환을 경기부침에 민감한 민간기업의 비정규직 대책모델로 강요할 수 없다. 다만 비정규직을 쓰더라도 모멸적인 차별은 시정해 달라는 신호로 해석해달라. -17대 국회개원 등으로 노사가 대립해온 핵심쟁점들에 대한 사전조정기구로 노사정위원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노사정위에 대한 정부의 기본시각은 뭔가. ▦대립절충기구로 중요한 기능을 할 것으로 본다. 하지만 노사정위원회에서 모두 완전합의해야된다는 강박관념은 벗어날 필요가 있다. 민노당의 국회진출로 최종합의기구는 의회를 통해 열려있기 때문이다. 정승량기자 schung@sed.co.kr 입력시간 : 2004-05-20 17:2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