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충당금 적립비율 상향 유예로 부실 우려 상당부분 해소 기대"

저축은행업계는 금융당국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지원방안에 대해 적절한 조치라는 반응이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3일 “자산관리공사(KAMCO)에서 부실 PF 채권을 매입해주고 대손충당금 적립비율 상향 조정 규정을 1년 유예해주는 등 저축은행업계의 요구가 많이 수용됐다”며 “PF 부실에 대한 우려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상호저축은행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캠코가 대손충당금을 제외한 나머지 채권을 모두 사주고 채권금액의 3분의1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도 2~3년으로 적립하도록 해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본다”며 “위험가중자산이 줄어들어 건전성이 개선되는 만큼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상승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워크아웃 중인 PF 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 상향 조정 규정을 유예하기로 한 것은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6월 워크아웃 중인 PF 대출의 대손충당금을 10% 적립하도록 한 뒤 6개월마다 5%씩 그 비율을 높이도록 했다. 기존의 적립비율 인상 방침이 그대로 적용됐을 경우 저축은행들은 내년 말까지 3,000억원을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번 지원으로 저축은행의 부실 우려도 상당히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PF 사업장의 담보비율 등을 감안하면 ‘금융위기의 뇌관’ 수준은 아니라는 얘기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PF 사업장에 대한 담보비율이 높은데다 그동안 상당 규모의 대손충당금을 쌓았다”면서 “여기에 금융당국의 지원까지 이뤄짐으로써 연착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이 부실 채권을 매각하면 자산이 줄어드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신규 예금유치 등을 통해 우량 자산을 늘려야 한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PF와 관련한 부실을 털어내는 동시에 적극적으로 예금을 유치한 후 우량 기업 및 개인들에게 대출을 제공함으로써 자산구조를 바꿔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