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0월 29일] 감산과 인력 감축 본격화되나

[사설/10월 29일] 감산과 인력 감축 본격화되나 쌍용자동차가 유급휴직에 들어간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기침체의 여파가 이제 우리 기업에도 밀어닥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다. 쌍용차는 판매급감에 따른 경영난 타개를 위해 350명의 직원에게 임금의 70%만 지급하는 유급휴직을 실시하기로 노조와 합의했다. 그동안 생산능력의 60%만 가동해왔는데 감산만으로 안 되자 결국 유급휴직을 통한 인력조정에 나선 것이다. 쌍용차의 유급휴직은 국내 기업에도 구조조정이 시작됐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현대차ㆍ기아차 등 다른 자동차 업체와 철강ㆍ석유화학ㆍ항공운송 업종에서 잔업중단 등으로 일부 품목의 감산과 노선감축 등을 하고 있으나 아직 인력조정 단계까지는 가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국내외 경영환경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인력감축 돌입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미국ㆍ유럽은 내년 성장률이 사실상 제로로 전망될 만큼 경기가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고 중국도 한자릿수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의 수출위축이 불가피한 것이다. 내수사정도 마찬가지다. 한은의 '10월 소비자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는 88로 전달보다 8포인트 하락했다. 금융위기에 따른 자산가치 하락과 경기침체 우려로 소비심리가 빠르게 얼어붙고 있는 것이다. 감산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 있으며 이런 위기감은 거의 전업종에 확산되고 있다. 경영환경 악화가 지속되면 기업의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 해도 인력감축은 최종 수단이어야 한다. 고용악화는 소득감소와 소비위축으로 이어져 경기침체 심화의 악순환을 불러온다. 기업들은 경비절감, 조업시간 단축, 고통분담을 전제로 한 고용유지 등 모든 노력을 해야 한다. 여기에는 노조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임금을 조금 덜 받더라도 일자리와 근로시간을 나눠 감원 없이 모두가 일하는 게 훨씬 낫기 때문이다. 정부도 내수진작책을 서둘러 경기가 더 가라앉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출이야 세계경기 등 외부요인 탓이 크기 때문에 우리 힘만으로 어떻게 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내수는 우리 하기에 따라 활성화의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