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구형 휴대폰 재고 처리 '골머리'

보조금 지급후 장려금 없어져 '상대적 高價'에<br>출시 1년 지나도 가격 하락폭 적어 고객 외면<br>대리점들 "마케팅 비용 추가 지원등 대책을"


휴대폰 대리점들이 출시된 지 1년 이상 지난 구형 휴대폰 처리 문제로 골치를 썩이고 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말부터 휴대폰 보조금이 허용된 후 신형 휴대폰에 대한 수요가 몰리는 반면 구형 단말기는 철저히 외면당하는 바람에 일선 대리점들의 재고부담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휴대폰 보조금이 허용되기 전까지만 해도 대리점들은 고가의 신형 휴대폰에는 보조금을 거의 지급하지 않는 대신 구형 기종에 거액의 보조금을 집중시켜 공짜에 가까운 가격으로 손님들을 유혹했다. 대리점으로서는 재고를 안고 가는 것보다 휴대폰을 싸게 판매하고 사용실적에 따른 수수료를 얻는 쪽이 이익이기 때문이다. 특히 휴대폰 제조업체들도 재고처리를 위해 구형 모델에 판매 장려금 명목으로 마케팅 비용을 지급했기 때문에 대리점으로서는 큰 부담 없이 구형 모델을 싸게 판매할 수 있었다. 이동통신사의 보조금에 휴대폰 제조업체들의 판매장려금과 대리점 자체 보조금 등을 모두 합치면 휴대폰 가격을 웃도는 경우가 많아 ‘공짜폰’이나 아예 현금을 돌려주는 ‘마이너스폰’들도 심심치 않게 등장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출시된 지 1년 정도 지난 모델은 큰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었다. 하지만 휴대폰 보조금이 허용되면서 이통사의 판매 수수료 지급규모가 크게 줄어든 데다 제조업체들이 별도로 지급하는 판매 장려금도 자취를 감춰 구형모델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다른 디지털 기기들은 출시 이후 1년 정도 지나면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절반 가까이 가격이 떨어지는 반면 휴대폰은 출고가격이 거의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용산의 한 대리점 사장은 “삼성전자의 경우 일 년 정도 지난 모델이 5만원 정도 가격이 떨어지고 다른 브랜드는 10~15만원 정도 떨어지는 게 고작”이라고 말했다. 최신형 휴대폰과 가격 차이가 크지 않은 탓에 소비자들로서는 구형 휴대폰을 살 이유도 없는 셈이다. 이에 따라 상당수 대리점 관계자들은 “합법적인 보조금만 사용하는 통에 구형 휴대폰 재고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재고처리를 위해서라도 출고가격 자체를 낮추던가 추가적인 마케팅 비용 집행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