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북대 "의전원 포기…의대로 복귀"

교수 투표서 75%가 희망…병행운영 12곳중 11곳 복귀 결정

경북대 의학전문대학원이 최근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학제 개선을 위해 실시한 투표에서 75%가 의과대학 복귀를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본부 학ㆍ처장회의와 교수회의 의결이 남아 있지만 의전원이 폐지되고 의대 복귀로 결정 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19일 의대 복귀 여부를 묻는 교수 투표를 실시하는 강원대도 의전원 폐지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의대와 의전원을 병행운영하는 12곳 중에서 이미 동국대를 제외한 11개교가 의대 복귀를 결정한 상태이고 의전원으로 완전전환한 15개교 중 경희대ㆍ조선대 등 상당수 대학도 의전원 폐지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들 대학은 오는 22일까지 교육과학기술부에 학제개편 내용을 담은 교육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의전원 완전전환 대학이나 의대ㆍ의전원 병행대학 27곳 중 의전원 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은 이화여대ㆍ가천의대 등 4~5곳에 불과하다. 지난 7월 의학교육 학제 선택을 대학 자율에 맡기기로 했지만 내심 많은 대학이 의전원 체제를 유지하기를 바랐던 교과부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현실이다. 특히 서울대ㆍ전남대ㆍ충북대ㆍ경북대 등 국립대들이 대부분 의대로 복귀하기로 한 것은 뼈아프다. 교과부는 의전원 체제 정착을 위해 2006년부터 지금까지 약 400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했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정부 재정 지원이라는'당근'을 버리고 의대 복귀를 선택한 것은 기존 의대 학제가 훨씬 더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감신 경북대 의학교육학제개선TF 위원장은 의대 복귀와 관련해 "국내 대학의 효율성이 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으로 좌우되는 현실을 무시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기초소양과 다양한 배경을 지닌 의사를 양성해 기초과학 연구 수준을 높이는 동시에 의대 입학을 위한 과열경쟁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의전원은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지만 교과부는 의전원 체제를 유지하는 대학에 대한 행ㆍ재정적 지원을 계속하기로 했다. 12일 교과부가 내놓은 '의ㆍ치의학 전문대학원 행ㆍ재정 지원 방안'에 따르면 국립대의 경우 교수를 증원할 때 의ㆍ치의전원에 인원을 우선 배정하기로 했다. 또 전문대학원 체제 정착비로 올해 총 40억원을 투입하는 등 2012년까지 재정 지원도 계속하기로 했다. 또 현재 국회에 제출돼 있는 고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총 입학정원의 20~30% 범위에서 학ㆍ석사 통합과정으로 학생을 선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고교 졸업생을 바로 의ㆍ치의전원 신입생으로 뽑을 수도 있어 우수 학생을 조기 확보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