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교졸업후 취업부터 한뒤 전공분야 선택 대학진학을"

김용익 고령화위원장


“대학은 선진국들처럼 언제라도 입학이 가능하도록 개방돼야 하고 고교졸업 후가 아니라 먼저 직장을 가져 전공할 분야를 선택한 후 진학하는 평생교육의 장(場)으로 개편돼야 합니다.” 김용익(54)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위원장은 4일 대학졸업 후 취업하는 현재의 추세를 고교졸업 후 취업하는 형태로 바꿔야 하며 이를 지원하고 장려하는 각종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교육인적자원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학의 혁신방향’이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고졸자의 지나친 대학진학 추세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고등교육의 지나친 수요가 오히려 교육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면서 “대학의 수를 점차 줄여 불필요한 교육낭비를 줄이고 대학은 창의적인 고급인력 양성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은 48%로 미국(74%), 일본(68%), 캐나다(83%) 등에 뒤지고 있다”며 “이는 고교졸업 후 곧바로 진학하는 학령인구 중심의 현행 대학입학제도 때문이고 이에 따라 대학입시의 극심한 경쟁과 청년기의 시간낭비, 열패감 등의 사회적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선 취업 후 전공할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오히려 더 정확한 진로선택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김 위원장은 “교육내용이 산업체에서의 요구와 분리돼 기업에서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기업들의 경력자 선호로 이어져 청년 취업기회가 줄어드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며 “노동력의 최종소비자인 산업계의 필요를 분석, 학교교육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기업들의 뿌리깊은 학력ㆍ학벌차별에 대해서도 “대학ㆍ대학원 등 교육수요의 과잉과 일류대학 집중 및 전문대ㆍ실업계 고교 쇠퇴의 주요인”이라고 비판하고 “임금ㆍ승진 면에서의 차별을 없애고 직무와 개인의 능력에 따라 공정하게 대우하는 기업문화 개선이 교육문제 해결의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했다. 4급 장애인으로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인 김 위원장은 이날 강연에서 급격한 저출산ㆍ고령화 추세로 우리나라는 오는 2018년부터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2030년에는 대표적인 고령국가인 독일 등 유럽국가들을 제치고 일본과 함께 세계 최고령국가(65세 이상 인구비율 24.1%)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