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교 수학 ,인문-상경-이과-예체능계 4가지로 세분화한다

진로별 맞춤형 교육 차원<br>수학교과서 ‘스토리텔링’형으로 쉽게 서술

문ㆍ이과로 구분된 고등학교 수학을 인문계와 상경계, 이과계, 예ㆍ체능계 등 진로에 따라보다 세분화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또 공식과 문제풀이 위주로 돼 있는 수학교과서를 의미와 맥락, 사례 중심으로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3일 광주시교육청에서 열린‘공교육 강화-사교육 경감 선순환 방안’정책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교과부는 앞서 지난달 23일 수학시험에서 서술형 평가 비중을 높이고 고교 수학시험에서 전자계산기를 허용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시안을 내놓았다. 이번에 보완된 시안에서는 고교생들이 본인 진로에 맞는 수학과목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문ㆍ이과로 구분된 수학과목을 진로에 따라 세분화하고 그에 맞는 교과과정을 도입하는 내용이 추가됐다. 예를 들어 문과수학을 인문ㆍ상경계로 나누고, 예체능계 수학을 새로 도입해 이과계를 포함해 수학교과를 4가지로 세분화하는 방안이다. 교과부의 한 관계자는 “아직은 하나의 아이디어차원”이라면서 “새로운 교과서를 만들지, 시험에 반영할지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내용 요약과 공식, 문제 위주로 구성된 수학 교과서를 의미와 맥락, 사례를 적용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형 구조로 개편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역사ㆍ철학ㆍ경제ㆍ사회ㆍ문화 등 인문학적 접근법을 적용해 수학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이고 실생활과의 연관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이진법은 어디서, 누구에 의해, 어떤 용도로 탄생했고 현재 어디서 활용되고 미래에는 어떻게 쓰일지 등을 제시하는 식이다. 교과부는 이날 토론회를 시작으로 내달 중 권역별 공청회와 토론회를 거쳐 5월께 최종안을확정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