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백화점 명품 매출 신장세 한풀 꺾여

일본 관광객 급감따라 1월보다 절반수준 '뚝'


국내 주요 백화점의 명품 매출신장세가 한풀 꺾이고 있다. 환율 하락세와 신종 플루의 영향으로 한국을 찾는 일본인 관광객들이 크게 줄면서 명품매출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의 지난달 명품 매출신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25.8%를 기록해 지난 1월 신장률 49.5%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명품 신장률이 최고조에 달했던 2월의 71%에 비해서는 50% 포인트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2월 최고치를 기록했던 명품 신장률은 3월 35.9%, 4월 29.6%로 낮아진 데 이어 5월 들어서는 25%대로 계속 내려가고 있다. 명품 매출액 자체로만 비교해도 5월 매출액은 지난 3월의 77% 수준으로 떨어진 상황이다. 신세계백화점에서도 지난 3월 문을 연 센텀시티점을 제외한 기존점 기준으로 5월 명품 매출신장률이 26.9%를 기록해 2월의 45.4%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그동안 경기불황 속에서도 나홀로 호황을 누려오던 명품 매출이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은 최근 일본인 관광객의 수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지난 2~3월 한때 1,600원대까지 치솟았던 원ㆍ엔 환율은 현재 1,200원대로 떨어지면서 백화점 명품매장을 찾는 일본인들의 발길이 거의 끊긴 상태다. 실제로 롯데백화점 명품관 에비뉴엘의 경우 전체 매출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던 비중이 1~3월에는 평균 30%대를 유지했지만 5월 들어서는 10%대로 급락했다. 신세계백화점 본점 역시 외국인 매출비중이 2월 9.7%에서 4월 5.1%, 5월 2.5%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엔고 현상이 지속되던 지난 3월까지만 해도 일본인 관광객들의 명품 구입이 많았지만 4월부터 엔화 가치가 떨어지고 신종 플루까지 겹치면서 일본인 관광객의 매출도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일본인이 주로 찾는 명동 일대의 호텔들도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소공동 롯데호텔의 경우 지난 4월만해도 일본인 관광객이 2만실, 3만6,000명 가량이 투숙했으나 5월 들어서는 1만4,000실, 2만5,000명으로 30% 가량 감소했다.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역시 1~3월 40%에 달하던 일본인 투숙객 비율이 5월에는 25% 수준으로 급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