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터키 FTA 상품분야 협상 타결

서비스·정부조달 부문은 발효 후 1년 이내 마무리

한ㆍ터키 자유무역협정(FTA) 상품 분야 협상이 타결됐다.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는 지난 7일부터 나흘간 서울에서 열린 한ㆍ터키 FTA 제4차 협상에서 서비스ㆍ투자, 정부조달 분야를 제외한 상품 분야에서 합의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측은 2010년 4월 앙카라에서 첫 공식 협상을 벌인 이래 공식 및 소규모 협상을 여섯 차례 했다.

외교부는 대외경제장관회의가 협상단의 잠정합의안을 승인하는 대로 협상타결을 공식 선언할 예정이다.


협상타결 선언 뒤에는 가서명, 국무회의 의결, 정식 서명을 거쳐 국회 비준절차에 들어간다.

관련기사



양국 정상은 지난달 초 정상회담에서 두 나라 FTA의 조기타결에 합의했다.

통상교섭본부 관계자는 "늦어도 내년 초 한ㆍ터키 FTA를 발효하는 것이 목표"라며 "한ㆍ터키 FTA 개방 수위는 상당히 높다"고 밝혔다.

양국은 이번에 합의하지 못한 서비스ㆍ투자, 정부조달 분야 협상은 FTA 발효 후 1년 이내에 마무리하기로 합의했다.

터키는 7천400만명에 달하는 인구와 2010~2011년간 연평균 8% 이상의 경제성장을 하는 등 시장잠재력이 매우 높다.

유럽ㆍ아시아ㆍ중동ㆍ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라는 점에서 터키와 FTA를 체결하면 양국 간 교역·투자 확대와 주변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국 교역액은 지난해를 기준으로 59억달러다. 우리의 대터키 수출은 51억달러, 수입은 8억달러로 43억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