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반기업정서 해소 경제교육 강화해야"

우리사회의 반기업정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투명.정도경영 노력과 함께 공교육 시스템을 통한 경제교육을 강화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일 '일본의 반기업정서 배경과 대응'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일본도 70년대 말 고도성장과 공업화의 폐해로 반기업정서가 극에 달했으나 이후 기업측의 적극적 노력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실효를 거두면서 서서히 완화되는 추세"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전후 공업화 과정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반기업정서가 70년대 초 일부 기업의 매점매석과 토지투기 등 비윤리적 행위가 잇따라 폭로되고 공해관련 소송이 이어지면서 크게 확산됐으며 80년대 리크루트 수뢰사건, 90년대 대형 금융비리 등으로 기업 윤리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일본 게이단렌(經團連)을 비롯한 경제단체와 기업들은 이에 따라 적극적인 환경및 소비자 대책과 함께 대학내 경제교육 강좌후원, 교원 민간기업 연수 등 다양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했으며 이를 통해 반기업정서 해소에 상당한 효과를 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액센추어사가 지난 2001년 세계 22개국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반기업정서 조사에서 일본의 경우, 53%가 '국민들 사이에 기업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없다'고 답변해 한국(28%)보다 반기업정서가 훨씬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런 점을 들어 공교육을 통한 경제교육 강화를 반기업정서 해소의 최선책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