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재계 "사회공헌기금 공론화 참여"

기존입장서 한발후퇴 "노사정委 논의도 가능"

재계 "사회공헌기금 공론화 참여" 기존입장서 한발후퇴 "노사정委 논의도 가능" • '사회적 요구' 자율 추진 反기업정서 해소 기대 • 勞 "형식은 문제안돼" 전폭 수용 재계가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노동계의 사회공헌기금 요구에 대해 사회적 공론화의 장(場)이 마련되면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이는 공론화 자체가 ‘사회적 압력’이라면서 강력 반발해왔던 종전 입장에서 한 발짝 후퇴한 것이서 주목된다. 이에 따라 재계가 오는 31일로 예정된 대통령 주재의 노사정 대토론회를 전후해 대 정부 및 노동계와의 관계를 한층 유연하게 끌고 가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영배 경총 상임부회장은 28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주요기업 인사ㆍ노무 담당 임원회의’에 참석한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사회공헌기금이 노사간 교섭대상이 아니라는 원칙이 명확해진 상황에서 노조의 요구가 아닌 사회적 요구에 의한 공론의 장이 마련된다면 기업들도 사회공헌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만큼 논의 자체에는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이어 “이 문제를 노사정위에서도 논의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사회공헌기금이 노사간 거래조건이 돼서는 안되며 기업과 경영자의 고유권한이라는 점이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재계의 이 같은 입장은 최근 사회공헌기금 문제를 장기적 과제로서 사회적으로 공론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김대환 노동부 장관의 발언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재계는 다만 주5일 근무제와 비정규직 문제 등 개별 노사현안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대응해나가기로 했다. 한편 경총은 이날 회의에서 재계가 경제5단체를 중심으로 합리적인 국회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의정협의체’를 구성하는 한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구성이 노사 양쪽 중 어느 쪽으로도 편향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각 정당 지도부에 전달하기로 했다. 이진우 기자 rain@sed.co.kr 입력시간 : 2004-05-28 17:2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