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계 할인매장 허가 외교문제 비화조짐

지자체 교통난 이유 지방점 허가 반려英테스코·美월마트등 WTO제소까지 검토 외국 대형할인매장의 지방진출이 잇따르면서 자치단체와의 마찰이 빈발하고 있다. 특히 자치단체가 교통난 등을 이유로 허가를 반려하자 이들 해외 유통업체들이 자국 대사관과 상공회의소 등을 통해 외교통상부에 압력을 넣는가 하면 WTO(세계무역기구)제소도 검토하는 등 외교문제로 까지 비화될 조짐이다. 영국 테스코의 경우 전방위 외교전을 펼치며 광주시를 압박하고 있다.테스코는 광주시 옛 남부터미널부지에 광주 주월점을 짓기 위해 사업부지내 공용도로 577평의 매각을 광주시측에 수차례 요구했으나 광주시가 교통혼잡을 이유로 거부하자 주한 영국대사관에 진정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찰스 험프리 주한 영국대사가 최근 외교통상부와 산업자원부에 '광주시의 비협조로 주월점 개점에 차질을 빚고 있다'며 협조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그러나 광주시는 주월점 예정부지 일대가 도심지 대표적인 교통체증지역인 데다 공용도로를 매각할 경우 주민들의 반발과 특혜시비를 우려해 '매각불가'방침을 고수, 양측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 월마트와 울산시도 외교분쟁 직전이다. 월마트는 지난해 9월부터 남구 무거동 옥현택지지구내 1,800평에 지상7층 규모의 울산서부점 개점을 추진 중이나 4차례의 교통영향평가심의위원회에서 번번이 부결되자 노골적인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월마트는 주한 미국상공회의소 등을 통해 외교통상부에 협조를 요청했으나 울산시가 교통문제와 주변상인 반발을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자 WTO제소까지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울산시 역시 이 지역이 고속도로와 시내 도심지를 연결하는 상습 교통체증지역이고 주변 재래시장 상인들의 반발이 워낙 거세 건축허가를 내 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자치단체들의 잇단 허가반려에 대해 외국 유통업체들은 자치단체들이 말로는 외자유치를 외치면서 인센티브는 커녕 국내업체보다 오히려 까다로운 조건을 내세워 시장진입을 막는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자치단체들은 외자유치가 중요하지만 대다수 시민들에게 교통불편을 끼치고 지역 상인들의 반발을 감수하면서까지 외국기업에 특혜를 줄 수는 없다고 말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최대 교통 혼잡지역에 대형할인매장 허가를 내 달라는 자체가 억지"라며 "다수 시민들의 편의를 우선 고려한 때문이지 외국기업이라고 차별하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울산=김광수기자 광주=김대혁기자 [경제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