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케이디테크

국제 환경규제 대응 시스템 개발·보급

곽 동 태 대표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케이디테크 국제 환경규제 대응 시스템 개발·보급 우재용 기자 vigilante@sed.co.kr 곽 동 태 대표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2','default','260'); 지난 99년 프리랜서 그룹으로 출발한 케이디테크는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한 친환경 IT시스템 전문 개발업체다. 이 회사는 2006년 LG전자의 친환경인증(LGEGP)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환경IT개발에 참여한 이후, 국제환경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시스템 개발과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정보 제공을 주력 사업 분야로 하고 있다. 대표 제품인 ‘유해물질관리 시스템(www.greenet.or.kr)’은 제조업체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규제유해물질별 함량을 관리,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자재 및 생산제품의 환경규제법안별 유해물질정보뿐 아니라 자재구매 협력업체의 친환경 인증심사와 사용기업 직원별 환경교육이력도 관리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지식경제부 산하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KNCPC)에서 후원하는 환경경영체계구축 확산 지원사업 과제로 부품 생산기업들에 공급되고 있다. 사용을 희망하는 기업에게 과제 참여 여부에 상관없이 2009년 10월까지 무상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등 국내 중소기업이 RoHS(유해물질 제한지침) 및 REACH(화학물질 관리규정)를 비롯한 각종 환경규제법에 대응 할 수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개발 중인 ‘친환경 공급망 관리시스템’은 상ㆍ하위 공급자간의 제품 및 부품 공급망을 통합코드로 자동 연결 관리, 공급되는 부품과 소재의 유해물질정보를 분석해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제품은 구매자재 및 생산제품의 화학물질정보를 제공하는 ‘물질분석관리’ 기능과 유럽연합(EU)이 지정한 EINECS No.(유럽 상용화학물질 번호) 및 규제물질을 관리할 수 있는 ‘기초자료관리’ 기능을 지니고 있다. 케이디테크는 이 시스템을 2009년 상반기부터 국내외 제품 및 부품생산업체를 대상으로 상용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 개발을 진행중이다. 또 이를 통해 국내기업들이 EU환경청에서 시행하고있는 REACH(화학물질 관리규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곽동태 케이디테크 대표는 “우리나라는 전자, 자동차, 선박 등 공산품 수출에 대한 국가경제 의존도가 높아 친환경규제법안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국제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과 유해화학물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사업성과 공익성을 갖춘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관련기사 ◀◀◀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몸에 맞는 혁신'으로 본질가치 높여라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효성에바라엔지니어링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아이엠에스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우신엠에스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은산토건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엘티에스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중앙티앤씨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대진레미콘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창조이엔텍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에이프로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티브이엠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씨티피코리아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케이디테크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대경에프앤비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아크로이엔지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국일케빈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대우산업주식회사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엠에스존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스피드 엔지니어링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정광피에스아이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창원기술정공 ▶ [한국 기술혁신 우수기업] 엘림파크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