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역 살림·숙원사업 위해서라면…"


기획재정부 지역경제정책과는 지난 26일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앞두고 바짝 긴장했다. 안건이 남해안 관광개발이다 보니 부산ㆍ경남ㆍ전남 광역단체장들의 참석을 요청했지만 당초 목요일로 예정됐던 비상경제대책회의가 수요일로 바뀌면서 단체장들이 일정 맞추기가 어려워진 것. 기재부는 부득이하게 부단체장들이 참석하는 것으로 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그런데 뜻하지 않게 3개 단체장들이 일정을 바꿔 모두 참석 하겠다고 통보 해왔다.

재정부 관계자는 “몰라보게 달라진 모습”이라며 “일단 중앙정부의 정책에 반대부터 하고 보던 야당이나 무소속 단체장들이 정치적 이슈보다 실리를 우선 하는 태도에 놀랐다”고 말했다.


지난 7월말 과천정부청사 기재부 예산실에는 인희정 충남지사가 방문했다. 통상 광역단체장들이 인사차 재정부를 들려도 장관과 차관 등을 만날 뿐인데 안 지사는 예산실로 내려와 실무과장들과 일일이 악수를 청하며 충남의 재정여건을 설명하고 국비지원을 요청했다. 아예 안 지사는 사업별 지원 사항을 메모해 조목조목 담당 과장에게 설명을 했다. 예산시즌 야당 단체장들이 아쉬워 기재부를 찾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안 지사는 “도민과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얼마든 발품을 팔 수 있는 것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요즘 야당이나 무소속의 광역단체장들의 행보는 당선 전과 판이하다. 선거 때까지는 4대강 사업 등 정부 정책에 반대 목소리를 높이던 단체장들이 당선 뒤에는 아예 찬성으로 돌거나 최소한 모호한 입장을 보이며 정부 및 여당과의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25일 경북 구미 금오산호텔에서 열린 ‘낙동강 연안권 상생발전을 위한 4개 시ㆍ도 공동선언문’ 발표 자리에는 김두관 경남지사가 전격 참여해 미묘한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선언문의 제목은 낙동강 연안권 상생발전이지만 실제로는 낙동강을 개발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그동안 4대강 사업을 반대해온 대표 주자인 김 지사의 참여가 의외로 받아들여진 것.

관련기사



김 지사의 참석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김 지사는 그동안 4대강 사업을 반대한 것이 아니라 보 설치와 과도한 준설 등을 반대한 것이며 낙동강 연안권 상생발전은 지천 살리기가 핵심으로 참석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김 지사가 정부의 예산안 국회 제출을 앞두고 굳이 중앙정부와 대립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없다는 생각에서 참석을 결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당선 뒤 4대강 사업에 대해 가장 큰 입장 변화를 보인 사람은 이시종 충북지사다. 이지사는 이달 2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충북은 4대강 사업과 관련해 운하사업으로 볼만한 대규모 보나 준설 사업이 없기 때문에 큰 논란거리는 적다고 본다”며 운을 뗐다. 이후 3일에는 국토해양부 4대강사업추진본부장을 만나 “충북은 대규모 보나 준설 사업이 없어 다른 도와 달리 크게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4대강 사업 지속 추진 의지를 밝혔다. 4일에는 한걸음 더 나아가 4대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 전격 통보했다.

송영길 인천시장의 행보도 눈길을 끈다. 송 시장은 당선자 신분 당시 인터뷰에서 “나를 더 이상 좌파로 보지 말라”며 이념 보다는 일로 평가 받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는 실제로 지난달 13일 지식경제부 등을 방문해 인천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국비지원을 강력히 요구하기도 했으며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삼성 등 국내 대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는 특히 “인천을 위해서라면 대통령도 만나겠다”고 선언해 실리도지사를 선언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