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늦어도 내년 하반기께 기준금리가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총재는 18일 저녁 한 강연에서 "한계가구 문제는 통화 당국의 (정책) 영역이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통화 정책은 거시 경제 전반에 걸쳐 전계층에 영향을 주는 만큼 특정 계층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금리를 결정하지는 않지만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서면 일부 한계가구는 곤란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총재는 다만 가계부채가 대규모 대출 부실로 이어져 금융시스템에 위기를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리정책의 작동과 관련, 이 총재는 "금융시장에서는 잘 작동하는데 실물경제에 대한 영향은 시차가 있어 기다려봐야 한다"며 "경기의 불확실성이 커져서 소비와 투자로 가는 연결고리는 약해진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수출 대기업이 해외생산 비중을 확대하는 것 역시 실물경제에 대한 통화정책의 효과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이 총재는 아베노믹스에 대한 평가를 요청받자 "아직은 이르다"면서 "과정을 면밀하게 분석 중"이라고 답했다.
그는 "엔저 대응책으로 금리 정책을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의도하지도 않는다"며 "다만 시장에서 쏠림 현상이 있다면 시장 안정 차원에서는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기존 입장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