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외국기업 제조기지로 '인기'

주정부들 파격적 인센티브 제공 "생각보다 비용 저렴"<br>中·동유럽은 상대적 고임금으로 매력 상실


미국이 아시아, 동유럽을 제치고 외국 기업들의 해외 제조기지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미국 주정부들이 경쟁적으로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으로 바꾸었기 때문이다. 반면 얼마전까지만 해도 제조업 기지 역할을 했던 중국과 동유럽의 이머징 마켓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높아진 고임금으로 매력을 상실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8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독일의 한 대형 자동차회사 회장은 "미국에서 제조업을 할 경우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비용이 훨씬 싸다"고 말했다. FT는 최근 달러화 강세 전환에도 불구, 여전히 달러화 수준이 낮게 평가돼 있는데다 미국의 여러 주정부가 해외 기업 유치를 위해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고 있어 제조 단가가 낮다고 분석했다. 테네시 주정부는 독일의 폴크스바겐이 10억 달러 규모의 공장을 짓는데 5억7,700만 달러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공장 설립비용의 절반 이상을 되돌려 주는 셈이다. 이탈리아 자동차 그룹인 피아트의 한 고위임원은 "미국의 많은 주들이 대규모의 자금을 인센티브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거절하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라며 "미국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비용이 저렴한 공장 입지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독일 철강회사 티센크룹은 최근 앨라바마주에 신규 공장을 지으면서 8억1,100만 달러 이상의 인센티브를 받았다. 앨라바마주는 저금리에 9억 달러의 자금을 추가 지원하겠다는 제안을 했지만 이 회사는 무 차입 경영원칙을 고수하며 거절했다. 이 회사는 심지어 루이지애나주로부터 20억 달러 이상의 인센티브 제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FT는 미국이 해외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인센티브 정책을 실시한 것이 새로운 일은 아니지만 최근 그 규모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특히 지난 7년 여간 이어진 달러 약세의 효과와 중국과 동유럽 국가들의 임금이 상대적으로 크게 오른 것도 미국이 인기를 끌고 있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폴크스바겐의 한 경영진은 "미국은 유럽에 비해서도 경쟁력이 있다"며 "오히려 유럽에 공장을 짓는 것이 훨씬 어렵다"고 말했다. 스위스의 한 대형 기업의 회장은 "(미국의) 주들은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고 근로자들을 교육시키는데 비용을 지불하는가 하면 대규모 감세를 제안하고 있다"며 "이런 프로그램들은 전세계 그 어떤 곳에서도 따라올 수 없는 경쟁력이며 생산성이 높은 미 근로자들을 고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매트 키스버 테네시주 경제개발위원회 위원장은 "테네시주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중동 및 남아프리카 도시들과 유럽 제조업체 유치를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업들이 몰려들며) 해마다 5억 달러 이상의 추가 세수와 10억 달러 이상의 순 세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은 테네시주가 사업하기 정말 좋은 도시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