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학력간 임금격차, 90년대 중반이후 확대"

대졸대비 고졸임금 94년 73.6%, 2002년 69.7%

80년대 들어 줄어들던 학력에 따른 임금격차가 90년대 중반 이후 다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 정진호 동향분석실장 등이 낸 `학력간 임금격차의 변화와요인분석'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부의 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중 10명이상 사업체의 25∼54세 상용근로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2년 고졸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173만8천원으로, 대졸 이상(249만5천원)의 69.7%로 조사됐다. 대졸 이상 근로자 대비 고졸 근로자의 임금비율은 82년 54.4% 이후 계속 높아져94∼95년 73.6%로 정점을 이룬 뒤 96년 72.6%, 97년 71.5%, 98년 69.9% 등으로 다시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졸 이상 근로자 대비 전문대졸과 중졸 이하 근로자의 임금비율도 82년 각각 65.1%와 41.5%에서 95년 각각 75.6%와 59.9%로 임금격차가 줄어들다가 2002년에는 72.4%와 57.6%로 격차가 다시 벌어졌다. 더욱이 학력별 평균연령이 대졸 이상은 82년 35.5세, 95년 34.4세, 2002년 35.3세로 큰 변화가 없는 데 비해 고졸은 82년 32.9세, 95년 35.0세, 2002년 36.9세, 중졸 이하는 82년 36.0세, 95년 42.5세, 2002년 45.4세 등으로 고령화된 점을 감안하면 임금 격차는 더욱 큰 것으로 풀이된다. 이 처럼 학력간 임금 격차가 커진 것은 "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전문대졸 이하의임금상승률이 대졸 이상 보다 높았지만 이후 들어 역전됐기 때문"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학력별 임금상승률은 대졸 이상의 경우 82∼94년 연 평균 4.2%에서 94∼2002년4.3%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데 반해 전문대졸은 5.0%에서 3.6%, 고졸은 5.9%에서3.4%, 중졸 이하는 7.2%에서 3.3%로 각각 크게 낮아졌다. 보고서는 "90년대 중반 이후 고졸자의 노동공급량은 감소한 반면 대졸 이상자는증가했는 데도 임금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90년대 초반부터 고학력자의 노동공급이 늘어난 것 보다 이들에 대한 노동수요가 더욱 커졌기 때문으로추론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