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교육청 '국제중 강행' 재확인

"학생생활기록부→면접·토론→추첨 3단계 진행"<br>사교육 조장 비판속… 교과부 결정에 관심



서울시 교육청이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국제중학교 지정 강행 의사를 분명히 했다. 국제화ㆍ정보화 시대를 이끌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 조기 유학에 따른 폐단을 해결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사교육비 부담이 확산되고 초등교육이 파행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비판이 적지 않다. 지난 2006년 “사교육 조장 우려”를 들며 국제중 설립에 ‘불가’입장을 보였던 교육과학기술부가 이번에는 어떤 결정을 내릴지도 관심이다. 현재 사학법인 대원학원ㆍ영훈학원이 시 교육청에 기존 대원중과 영훈중의 국제중 전환을 신청해 놓은 상태다. ◇선발은 어떻게=시 교육청이 19일 발표한 ‘특성화 중학교 지정 계획’에 따르면 전형 1단계에서는 학교장 추천과 학교생활기록부 중심으로 모집정원(160명)의 5배수인 800명을 뽑은 뒤 2단계 개별면접과 집단토론으로 모집정원의 3배수인 480명을 추려 무작위로 추첨, 최종 합격자를 가리게 된다. 학생 모집지역은 서울로 제한되며 모집 정원의 7.5%는 저소득층 자녀를 우선 선발, 장학금 지급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국어ㆍ국사 등 일부 교과를 제외한 과목은 영어로 가르치는 영어몰입교육이 실시되고 영어ㆍ세계사 등 국제 관련 수업이 늘어난다. 시 교육청은 조만간 교과부의 협의를 거쳐 오는 10월 구체적인 전형요강을 공고한 뒤 11월 원서접수를 시작해 올해 말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계획이다. ◇중학교 입시 부활, 영어몰입교육 우려=시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사교육 열풍이 초등학교로 확산될 것이란 우려에 대해 “필기고사를 보지 않고 학교생활기록부 평어와 창의적 재량학습 등 평균적 학습 능력을 기준으로 선발할 것”이라며 “개별면접과 토론도 영어로 못하게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영어몰입교육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신입생부터 영어몰입교육을 하겠다는 게 아니라 이중 언어로 수업을 하다 익숙해 지면 (영어로)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 교육청의 이 같은 방침이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다. 한만중 전교조 정책실장은 “학교장 추천으로 한다지만 단위 학교에서는 시험 등 학교장 추천 기준을 만들어야 하고 학부모는 그에 대비해 투자할 수밖에 없어 사교육이 늘어날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교과부와 사전협의 없이 지정계획을 먼저 발표한 시 교육청의 태도도 빈축을 사고 있다. 현행 초중등교육법에는 ‘특성화 중학교 지정시 교과부 장관과 협의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시 교육청은 14일 정식 협의 공문을 보낸 것 외에 논의는 시작조차 하지 않은 상태다. 또 심의권이 있는 시 교육위원회의 동의도 받지 않고 공청회 등 여론수렴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발표를 강행했다. 교과부의 한 관계자는 “정식 협의 공문을 받아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며 “청심 국제중학교와 부산 국제중학교의 운영 실태 등을 면밀히 따져 (국제중 지정 관련) 의견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