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취업 반수생(半修生)'이 뭔지 아시나요?

원치 않는 직장 압사후 구직활동 치중…20~30대 직장인 34% 차지

직장인 10명 가운데 3명 이상이 원치 않는 직장에 임시방편으로 입사한 뒤 업무보다 구직활동에 치중하는 이른바 '취업 반수생'인것으로 나타났다. 절반의 재수생이라는 의미의 `반수생'은 대학에 합격하고도 학교를 다니면서 대입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가리킬 때 주로 쓰이는 말로 대학생 뿐 아니라 직장인들 사이에서도 반수생이 늘고 있다. 31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www.incruit.com)가 20-30대 직장인 1천120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자신을 `취업반수생'이라고 밝힌 응답자가 전체의33.8%(378명)를 차지했다. 직장인 10명 중 3명 이상이 `무늬만 직장인인 구직자'인 셈이다. 취업 '재수'가 아닌 '반수'를 택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경제적인 이유'(50.8%)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실업기간을 두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이라는 응답(33.3%)이 그 뒤를 이었다. 취업 반수생 중 회사 업무시간에 취업준비를 한다는 응답자가 20.1%였고 퇴근시간 이후 회사에서 취업준비를 한다는 응답자도 18.0%를 차지, 38.1%가 회사에서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업무보다 취업준비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를 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22.8%, 회사업무와 취업준비에 비슷한 시간을 투자한다는 응답자가 27.5%를 각각 차지해 업무에 집중하지 않는 직장인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준비로 회사업무에 차질을 준 경험이 있었다는 응답자도 12.7%나 됐다. 이밖에 채용공고를 매일 검색하고 있는 응답자는 82.0%에 달했고 계속 입사지원을 하고 있다는 응답자도 72.0%를 차지했다. 취업반수생의 비율은 대기업 20.8%, 중기업 31.1%, 소기업 39.4% 등으로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높았고 정규직(27.7%)보다 비정규직(60%)이 훨씬 높았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