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重, LPG선도 육상건조

노르웨이社 운반선 세계 최초로 시도 "내년 하반기부터 건조능력 2배로 확대"

현대중공업 울산공장 직원들이 12일 LPG선 육상건조 착공식을 갖고 초대형 선박 크레인 앞에서 힘차게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액화석유가스(LPG)운반선 육상건조 시대를 열었다. 현대중공업은 12일 울산 해양공장에서 노르웨이 베르게센(Bergesen)사의 8만2,000㎥급 LPG선 착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육상건조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지난 2004년부터 유조선 11척을 도크 없이 만들었지만 화물시스템이 복잡한 특수 고부가가치 선박에 대해 육상건조를 시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중공업은 이를 위해 최근까지 스키드레일 등 기존 설비를 LPG선형에 맞게 개조했으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조립 블록 수를 기존 80개에서 절반 이하로 줄이는 등의 연구를 별도로 진행해왔다. 현재 현대중공업이 육상건조를 전제로 수주한 LPG선은 모두 8척에 이른다. 또 이미 육상건조 기술을 인정받은 유조선의 경우 독일ㆍ러시아ㆍ인도 등 세계 각국으로부터 29척을 수주해놓고 있다. 오병욱 해양사업본부장(부사장)은 “이미 수주한 물량만도 현재 건조능력으로는 오는 2012년까지 작업해도 완료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년 하반기부터 육상건조 능력을 현행 연간 8척에서 16척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2004년 10월 첫 육상건조와 진수에 성공한 현대중공업은 지금까지 기술개발을 통해 건조기간을 85일에서 55일로, 진수기간을 7일에서 2일로 각각 줄였다. 건조능력도 연간 4척에서 8척으로 확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