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서울-베이징 '미세먼지 개선 협력' 첫 공동합의

통합위원회 환경팀 신설·대기질 포럼 개최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 문제와 관련, 서울시와 중국 베이징(北京)시가 공동 대응하겠다는 합의문을 3일 발표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베이징시 초청으로 이날 베이징을 하루 일정으로 방문, 왕안순(王安順) 베이징시장과 합의문에 서명했다.


합의문은 크게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양 도시 정책·기술·정보·인적 교류와 협력,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 내 환경팀 신설, 서울-베이징이 주도하는 동북아 대기 질 개선 포럼 공동 개최 등 3가지 항목으로 짜였다.

통합위원회는 지난해 4월 박 시장과 왕 시장이 만나고 나서 설립된 조직으로 지난해 10월 서울에서 1차 회의를 열었다.

두 도시 실무진은 CNG(천연가스) 버스 보급, 공공차량 매연저감장치 부착, 저녹스 버너 보급, 도로분진 흡입차량 시험 운행 등 협력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연구원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베이징 성시규획설계연구원, 베이징 환경보호검측센터 등도 공동연구에 나선다.

관련기사



동북아 대기 질 개선 포럼은 올해 9월 서울에서 열려 우수 사례를 공유할 계획이다.

왕 시장은 “베이징시에서 1998년부터 연이어 6단계 대기오염 방지 조치를 내놨지만 경제가 발달하면서 대기오염 문제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와 석탄 사용이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이라며 “배수진을 치는 결심, 팔을 잘라내는 용기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 같다. 빨리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목표는 매년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5%씩 줄이겠다는 것이고 올해만 1,300억위안(약 2조3,000억원)을 투입하고 있다”며 “서울시의 대기오염 방지 이념, 정책, 기술을 배우고 싶다”고 조언을 구했다.

이에 박 시장은 “서울도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대기 질 문제가 많았는데 천연가스버스 전면 도입, 도시가스 보급, 공해 유발 업체의 수도권 이전 같은 여러 조치로 많이 좋아졌다. 그렇지만 미세먼지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다”며 “두 도시 간 여러 실험과 정보, 정책, 기술을 함께 고민하고 나누면 큰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박 시장은 합의문 서명 후 왕 시장에게 도시가스 보급 확대, 운행 경유차 저공해화 등 서울시의 주요 대기 개선 정책을 정리한 180쪽 분량의 자료집을 전달했다. 두 사람은 서로 기념품도 교환했다.

박 시장은 오는 10월 서울시가 개최하는 중국 주간 행사에 왕 시장을 초청했고 왕 시장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