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금융안정대책 해외반응/“한국금융위기 진화엔 역부족”

◎구제금융 미룰땐 주변국피해 파급­미국/한국경제회생 지원책 마련 등 필요­일본/원화 앞으로 15∼20%선 평가절하­홍콩한국정부의 경제팀 경질과 금융안정대책 발표에 대해 미국, 일본, 홍콩 금융시장은 금융위기의 불길을 잡기에는 미흡하다며 냉담한 반응을 나타냈다. ▷미국◁ 한국은 투자자들과 예금자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통해 은행을 조속히 안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미 뉴욕 타임스가 20일 논평했다. 타임스는 「아시아 바이러스의 확산」이라는 사설에서 이같이 말하고 한국이 (구제금융 요청을) 너무 지체하거나 경제가 침몰할 경우 그 영향이 다른 나라에까지 파급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사설은 또 최근까지 태국, 홍콩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금융혼란은 외부지역에 큰 위협이 되지 않았으나 세계 경제 11위권인 한국의 위기는 이미 일본과 다른나라에까지 그 영향이 파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멕시코와는 달리 아시아의 위기는 무모한 통화정책이라기보다 민간부문의 문제가 있음을 반영하고 있으며 따라서 재정지출 감소나 긴축통화 정책만으로는 효과를 거둘 수 없다고 사설은 진단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주식 매각보다는 오히려 은행대출을 받아 자금을 조성해 왔고 이들 기업에 대한 은행의 대출 결정도 엄격한 기업평가에 근거하기보다 정부 압력이나 개인적 관계에 바탕한 경우라고 타임스는 분석했다. 한국의 은행들은 그 결과 기업에 빌려 준 악성 채권의 부담으로 휘청거리게 됐으며 예금자들과 외국 투자가들은 자신들의 예금 혹은 투자금액을 회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월가의 펀드매니저들은 한국정부의 대책이 너무 늦었고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구제금융 요청을 피하기 위한 미봉책이라고 평가했다. 월가의 투자가들은 임창렬 신임 경제부총리가 IMF의 구제금융을 거부한데 실망감을 표시했으며 한국은행이 미국과 일본 중앙은행으로부터 차입을 통해 외환부족을 해결하는 데 대해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월가에 영향력이 있는 로이터 통신은 한국 정부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모험을 피하기 위해 IMF 지원요청을 거부했지만 대선이 끝난 직후 궁극적으로 IMF 지원을 요청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뉴욕 펀드매니저들은 오는 24일 뉴욕을 방문하는 이경식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의 금융위기에 대해 구체적이고 공식적인 답변을 할 것으로 기대, 이총재의 방미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뉴욕=김인영 특파원> ▷일본◁ 일본은 미국 다음의 수출 대상국이자 제3위 수입국인 한국의 경제위기를 매우 걱정스럽게 지켜보면서 최근 한국의 통화불안 등 경제전반의 위기가 일본 경제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요미우리(독매)신문은 설비투자가 기아와 한보그룹 등 재벌의 연속파탄을 촉발하고 곧 바로 금융위기로 이어졌다고 지적하면서 일본의 중소기업 등 한국을 주요 판매원으로 하고 있는 기업들이 많아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아사히(조일)신문은 한국 정부가 발표한 금융안정화대책과 관련, 일본도 한국 경제의 회생을 위한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동경=연합> ▷홍콩◁ 홍콩 금융계는 한국정부의 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혼란이 가속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아시아 전체에 미치는 악영향도 더욱 확산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홍콩의 영자신문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는 20일 홍콩의 중앙은행격인 은행감리처(HKMA)가 한국에 이어 홍콩이 국제투기세력의 집중적인 공격대상으로 부각될 것이라는 우려감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헤지펀드 매니저는 『원화가 앞으로 15∼20% 정도 평가절하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아시아의 통화위기 도미노현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홍콩 UPI­DJ=연합 특약>

관련기사



김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