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심판이 경고 받겠네…

끊임없는 자질·오심 논란에 경기운영 문제 불평 쏟아져

27일 새벽(한국시간)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프리츠-발터 스타디온에서 열린 2006 독일월드컵 이탈리아-호주 16강전에서 히딩크감독이 주심을 향해 제스처를 보이고 있다. (카이저슬라우테른=연합뉴스)

2006독일월드컵이 심판의 자질과 오심 논란으로 얼룩지고 있다. 판정과 관련한 시비가 연일 계속되면서 ‘심판이 월드컵의 주요 이슈가 됐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 월드컵 주요 이슈로 떠올라
제프 블래터 국제축구연맹(FIFA) 회장조차 포르투갈-네덜란드전에서 나온 경고 16회에 4번의 퇴장을 지켜보고 “심판이 경고감”이라고 했을 만큼 심판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다. 외신들도 마찬가지의 시각을 보이고 있다. AP통신은 27일 심판판정의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지적했고 AFP통신도 결승전 심판을 누가 볼 것인가를 예상하는 기사에서 “적임자를 찾기 힘들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날까지 퇴장만 24번으로 이미 역대 월드컵 신기록이 작성됐고 경고도 298번이 나와 지난 2002년 대회의 272번을 넘어섰다. 특히 한 경기 4명 퇴장 신기록이 세워졌던 포르투갈-네덜란드전에서는 양팀 감독과 선수들이 “1분에 한번 꼴로 휘슬이 울려 축구를 하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또 “축구 강국에 판정이 유리하게 흐른다”는 불평이 터져나오는 등 전체적인 심판의 경기 운영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오심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과 관련된 것만도 프랑스전에서 나온 파트리크 비에라의 헤딩슛의 골 논란, 스위스전에서 알렉산더 프라이의 오프사이드 논란 등 2차례나 있었다. 블래터 FIFA 회장의 조국 스위스는 판정에서 이득을 봐왔다는 곱지 않은 눈길을 받았고 27일 이탈리아에 후반 종료 직전 페널티킥을 내줘 8강행이 좌절된 호주의 거스 히딩크 감독도 경기 후 “느린 그림으로 다시 보면 페널티킥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판정에 불만을 나타냈다. 이탈리아 파비오 그로소가 호주 페널티지역 왼쪽을 돌파하는 순간 넘어진 수비수 루카스 닐의 몸에 걸려 넘어졌지만 루이스 메디나 칸텔레호 주심은 곧바로 페널티킥을 선언했다. 블래터 회장은 2002한일월드컵 당시 심판들의 경험 부족으로 실수가 자주 나오자 이번 대회에 앞서 “월드컵 심판 선발을 더욱 엄격하게 하겠다”고 강조했고 개막 직전 “이보다 더 심판에 대해 준비를 많이 할 수는 없다”고 장담했지만 현재까지 상황으로는 이런 말들이 무색해진 셈이다.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