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MB정부 부동산대책 수혜지역을 찾아서] <5·끝> 지방 미분양 아파트

수요 꿈틀…한달새 2,579가구 소진<br>"지방 3억이하 취득땐 세제혜택"에 수도권서도 몰려<br>임대사업자 요건 1가구이상으로 대폭 완화도 '한몫'



[MB정부 부동산대책 수혜지역을 찾아서] 지방 미분양 아파트 수요 꿈틀…한달새 2,579가구 소진"지방 3억이하 취득땐 세제혜택"에 수도권서도 몰려임대사업자 요건 1가구이상으로 대폭 완화도 '한몫' 김상용 기자 kimi@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양도세 완화 등 지방 미분양에 대한 규제가 대폭 풀리고 신규 분양이 올스톱되면서 미분양 물량도 소폭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부산 해운대 마린시티 일대 주상복합아파트 단지. ImageView('','GisaImgNum_2','default','260'); 최근 정부가 내놓은 세제개편 내용 중 주목할 만한 대책이 있다. 지방 소재 2주택자의 저가주택 기준을 기존의 1억원에서 3억원으로 상향 조정한 것이 바로 그것. 또 임대주택 사업자 요건도 기존의 5가구 이상에서 1가구 이상으로 대폭 완화된 점도 눈여겨볼 만한 정책 중 하나로 꼽힌다. 이에 따라 서울 등 수도권에서 기존에 주택을 보유한 사람들은 지방에 3억원 이하의 아파트를 취득할 경우 2주택자로 간주되지 않는 세제혜택을 누릴 수 있다. 물론 지방에 3억원 이하의 아파트를 보유한 사람들도 서울 등 수도권에 또 다른 주택을 구입해도 2주택자 중과세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지방은 경기도와 동일하게 3년 보유 요건만 채울 경우 양도세 전액 면제가 가능한 만큼 사실상 지방의 아파트 양도세에 대해 면제부를 준 셈이다. 이에 따라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9월 국토해양부가 밝힌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 현황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정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는 전월 대비 1.9%(2,579가구) 줄어든 13만2,323가구로 소폭 감소했다. 지방에 신규로 공급되는 아파트가 단절된 상태에서 한달 사이에 지방에서 2,600여 가구의 미분양이 소진된 것이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 센터장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사람 중 직장이 지방에 있는 사람들 위주로 지방의 저가주택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조금씩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일부 지방의 경우 전세금과 매매 가격과의 차이가 크지 않은 점도 이 같은 지방 미분양 주택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대사업자 요건이 낮아진 것도 지방 미분양 아파트 소진의 또 다른 이유로 꼽을 수 있다. 기존에는 임대사업자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3억원 이하 주택을 5채 이상 보유해야 임대사업자로 등록할 수 있었다. 하지만 9월 정부가 발표한 세제개편안에는 5가구 이상을 1가구 이상으로 범위를 늘리고 주택형도 기존의 85㎡ 이하에서 149㎡ 이하로 대폭 확대했다. 임대기간 역시 기존의 10년 이상에서 7년 이상으로 줄여줘 임대사업자 등록의 문턱을 낮췄다.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지방 미분양 주택의 매수 문의가 단절된 상황에서 정부의 세제개편안이 발표된 후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지방 아파트 가격이 회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 정책으로 지방의 미분양 주택이 일순간에 소진되기 어려운 만큼 정부의 세제개편안은 지방 아파트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여려 변수 중 한 개가 제거된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