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日, 노대통령 담화에 "국내용" 평가절하

일본 정부는 25일 한.일 관계의 '조용한 외교'탈피를 골자로 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특별담화에 대해 일단 관망하면서도 "국내용 메시지"라며 애써 평가절하는 반응을 보였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이날 특별담화 직후 "국내용 메시지가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도 총리관저 출입기자들과 만나 "일.한 우호관계를 대전제로 냉정히 대처하고 싶다"며 "미래지향적으로 생각하는 편이 좋다"며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그는 "그렇기 때문에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며 "나는 (정상회담에 응하겠다고) 언제나 말하고 있다"며 양국 관계가 악화되는 원인을 정상회담을 거부하는 한국쪽으로 돌렸다. 일본 정부는 이날 노 대통령의 담화가 지난해 3월 시마네(島根)현이 '다케시마(독도)의 날' 조례를 제정했을 때 한국 정부가 발표했던 ▲과거 침략행위에 대한 철저한 사과 요구 ▲독도 영유권을 지키기 위한 조치 추진 등 4개 항목의 대일정책 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노 대통령이 '조용한 외교' 탈피를 천명했지만 지난해 독도.교과서 왜곡기술 등으로 촉발된 일련의 양국 갈등 이후 사실상 한국측의 대일(對日)정책이 강경기조로바뀌었던 만큼 새로울게 없다는 판단이라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노 대통령의 담화가 '동해 도발' 타결 직후 나온 것도 한국 정부가'협상 실패'라는 일각의 비판여론을 잠재우기 위한 속셈과 무관치 않다고도 판단한것으로 보인다. 외무성 고위관계자는 '동해 대치' 협상이 "일본에 유리하게 타결됐다는 비판을억누르기 위한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또 일본 정부는 노무현 정권이 다음달말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당에 유리하도록대일 강경책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이 다음달 시작하기로 한 한국과의 배타적경제수역(EEZ) 경계선 획정을 위한 국장급 협의를 사실상 지방선거 이후로 연기토록 지시한 것도 이러한 판단에서다. 다만 일본측의 공식 반응은 신중하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아베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노 대통령 특별담화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고 "우선 담화를 상세히 읽어본 뒤 분석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공영방송 NHK는 "노 대통령의 담화는 EEZ 경계획정 협상에 앞서 한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는 '다케시마'의 영유권문제를 역사인식의 문제로 위치, 근본적인 해결을강력히 요구하는 자세를 안팎에 과시하려는 속셈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고 풀이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