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해외투자펀드 실태조사 '왜 나섰나?'

"금융시장 불안정성 오히려 증폭"<br>환율안정·시중 유동성 감소 효과도 못거둬<br>中등 신흥시장 불안땐 자산가치 급락 우려도


해외투자펀드 실태조사 '왜 나섰나?' "금융시장 불안정성 오히려 증폭"환율안정·시중 유동성 감소 효과도 못거둬中등 신흥시장 불안땐 자산가치 급락 우려도 최형욱 기자 choihuk@sed.co.kr 정부가 올해 초 해외펀드 비과세 등 해외투자활성화 정책을 내놓았지만 오히려 단기외채 증가의 부작용만 커지고 있다. 해외 투자 때 80%가량이 환헤지를 하는 바람에 환율 안정, 시중 유동성 감소 등의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정성만 증폭시켰다는 얘기다. 더구나 해외펀드 투자도 중국ㆍ인도 등 신흥시장에 몰리고 있어 신흥시장의 금융불안 때는 자산가격 급락, 금융시장 혼란의 위험도 커지고 있다. ◇해외펀드 급증에 외채 증가=해외펀드 투자가 활발해지면 국내 달러화가 해외로 대거 빠져나갈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실제 올 상반기 동안 증가한 대외채무는 477억달러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한해 동안 증가한 755억달러의 60% 이상에 이른다. 같은 기간 해외 주식투자는 23조원 이상 늘었다. 상반기 평균환율 934원을 적용하면 246억달러가 해외 주식투자로 빠져나갔다는 뜻이다. 통상 해외 투자규모의 80%가량이 환 리스크를 헤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외 투자로 인한 외채 유입분은 200억달러에 육박한다. 이는 올 상반기 대외채무 증가분의 40%가량을 차지한다. 한국은행의 한 관계자는 "만기 1년 미만인 단기외채 비중이 전체 채무 중 44.3%로 절반 이하인데다 외환보유고 규모 등을 감안하면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해외펀드 투자가 외채 증가를 촉발하고 있는 점은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환율 안정 효과도 기대 어려워=이 같은 외채 유입은 조선업체의 선물환 매도 공세와 맞물려 환율 하락 압력을 높이고 있다. 해외 주식투자를 통해 달러가 해외로 빠져나가면 원ㆍ달러 환율이 오르는 게 상식이다. 하지만 환 리스크를 100% 헤지하면 환율 상승 효과는 0%가 된다. 선물환을 통해 같은 규모의 달러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달러화ㆍ엔화ㆍ유로화 표시 자산에 대해 투자할 때 90% 이상이 달러 선물이나 선물환 거래를 실시하고 있다. 중국 투자도 대부분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로 달러 선물이나 달러 선물환을 통해 환위험 헤지가 가능하다. 홍콩달러화가 미국 달러화에 페그돼 있기 때문이다. ◇중국 등으로 '쏠림 현상' 우려도=이처럼 환율 상승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반면 해외펀드의 쏠림 현상으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해외펀드에서 주식 비중이 지나치고 높고 특정 지역에 몰려있기 때문이다.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증가한 해외펀드 투자액은 총 31조원이다. 이 가운데 4분의1 규모인 7조5,000억원가량이 중국에 몰렸다. 인도까지 포함하면 30%가 넘는다. 더구나 중국과 인도를 포트폴리오 가운데 하나로 편입한 펀드까지 넣으면 비중이 더 커진다. 최근 중국 정부마저 증시 과열을 우려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중국 펀드 열풍은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중국 투자펀드 증가액은 올 1ㆍ4분기 1조2,000억원, 2ㆍ4분기 1조5,000억원에서 3ㆍ4분기에는 5조원에 육박했다. 이들 지역에서 주가가 폭락하면 단기손실이 커질 수밖에 없다. 또 신흥시장의 자산 버블 우려가 나오면서 이들 지역에서 외화차입에 대한 규제조치가 단행될 가능성도 크다. 실제 최근 인도 정부가 장외 파생상품에 대한 규제조치를 취하면서 증시가 장중 한때 10%나 폭락했다. 최근 투자가 급증한 베트남ㆍ인도 등의 경우 환위험 헤지도 어렵다. 특히 가능성은 아직 낮지만 '펀드런(Fund-run)' 위기로 대규모 환매 사태가 일어나면 투자자금 회수마저 어려워지게 된다. 최악의 사태는 투자자로부터 유입되는 원화 공급이 끊기는 경우다. 이는 '자산운용사들의 은행에 대한 달러 지급 불가능→국내 은행의 외국계 은행에 대한 달러 채무 불이행'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물론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나 외환보유고 등을 감안하면 국가적 신용위기로 발전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금융시장이 큰 충격을 받을 게 불을 보듯 뻔하다. 입력시간 : 2007/10/18 17:5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