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400억대 한전 전력량계 입찰, 기존업체들 불참으로 무산

업계" 신규업체 참여로 담합 불가능해져 발생한 일"

400억대 한전 전력량계 입찰, 기존업체들 불참으로 무산 업계" 신규업체 참여로 담합 불가능해져 발생한 일" 한기석 기자 hanks@sed.co.kr 400억원대의 한국전력 기계식 전력량계 입찰이 기존에 참여해오던 업체들이 모두 불참해 무산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업게에서는 신규 업체가 입찰에 참여하자 기존 업체들이 나눠먹기식 담합이 불가능해져 발생 한 일로 보고 있다. 10일 한전에 따르면 지난 9일 예정된 410억원 규모의 기계식 전력량계 입찰이 1개 업체만 참여 의사를 밝혀 무산됐다. 입찰은 오는 23일로 연기됐다. 이번 입찰에 참가한 업체는 남전사로 신규로 입찰자격을 얻었다. 대한전선ㆍLS산전ㆍ피에스텍ㆍ위지트ㆍ서창전기통신 등 기존 업체들은 모두 불참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불참 이유에 대해 "전력량계가 주사업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한전선은 한전 전력량계 사업만 담당하는 자회사를 두고 있을 정도로 이 사업에 관심을 보여왔다. LS산전 관계자는 "지난해 입찰 물량에 비해 집행 물량이 적어 제조원가가 올라가는 등 손익을 확정하기가 어려워 불참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담합을 위한 시간벌기로 해석하고 있다. 그 동안 한전 전력량계 물량은 기존 업체들이 적당히 나눠 수주했다. 입찰 자체가 한 업체가 수량의 최고 20~30%까지 수주할 수 있도록 제한돼있다. 여기에 신규 업체가 참여해 기존 방식 대로 나누기가 불가능해지자 일단 입찰 연기를 유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 동안 낙찰 가격이 시중 가격에 비해 터무니없이 높았는데 신규 업체가 이를 시중 가격 수준으로 낮추려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신규 업체가 나눠먹기식 입찰 제의를 거부하면서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기계식 전력량계의 시중 가격은 단상 40암페어의 경우 1만2,000원선이다. 한전은 이 제품을 지난해 입찰에서 2만 5,400원에 공급 받았다. 이에 대해 한전의 관계자는 "시중 제품은 30암페어로 종류가 다르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업계에 따르면 두 제품은 부품도 같고 제조원가도 같은 사실상 동일 제품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