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S전선, 0.32mm 두께 무선충전 모듈 개발

LS전선, 세계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용 제품 내놔

LS전선 직원이 0.32mm로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용 무선충전 모듈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제공=LS전선


이 정도까지… 세계가 반한 한국 기술력
LS전선, 0.32mm 두께 무선충전 모듈 개발LS전선, 세계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용 제품 내놔

홍준석기자 jshong@sed.co.kr














LS전선 직원이 0.32mm로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용 무선충전 모듈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제공=LS전선










LS전선이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 용 무선충전 모듈 개발에 성공하는 등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무선충전 시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LS전선은 27일 0.32mm로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 용 무선충전 모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자기유도 무선충전 기능뿐 아니라 근거리무선통신기능(NFC)까지 갖춰 현재 생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무선충전과 무선데이터 통신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0.5mm였던 기존 충전 모듈보다 두께가 40% 줄었고, 현재 무선충전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세계무선충전협회(WPC)의 치(Qi) 인증 규격에 부합해 해외 138개 기업의 제품과 호환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LS전선은 무선모듈을 가장 얇게 만들기 위해 권선형 코일(Winding Coil) 대신 필름 형태로 만들었다. 여기에 패턴 분할 기술을 도입, 충전모듈 박막화의 걸림돌이었던 발열과 충전 효율 하락이라는 두 가지 문제점을 개선했다. 또 충전시 교류저항으로 발생하는 온도 상승도 5℃이내로 억제하는데도 성공했다.

관련기사



회사측은 해당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아울러 완전 방전에서 완전 충전까지 2시간이 걸려 유선 충전기와 동일한 효율성을 유지했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의 무선충전 모듈은 충전용 덮개를 별도로 제작해야 했지만 이 제품은 휴대전화기의 후면 덮개와 NFC안테나가 위치한 곳에 장착돼 별도 부품 제작없이 기존 금형을 활용해 휴대전화에 무선 충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LS전선은 대용량의 전력 전송이 필요한 태블릿과 노트북용 제품과 WPC의 자기유도방식이 아닌 퀄컴과 삼성전자가 추진하는 자기공진방식 제품도 개발하고 있다. 김원형 기기사업부장(상무)은 "스마트 가전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무선충전이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을 것"이라며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더 다양한 무선충전 기술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에 따르면 국내 무선충전기 시장은 지난해 5~10만대 수준에서 올해 100만~200만대까지 20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2007년 세계 최초로 무선 충전 기술을 선보인 LS전선은 지난해 자기 공진 무선 전송시스템의 개발을 완료하고, 국내 최초로 이를 실증화한 모델을 선보인바 있다. 또 2011년 자기 유도방식의 스마트폰용 무선 충전기 차버를 선보여 시장에서 인기를 끌기도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