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술·담배 소비 17년만에 최소

1·4분기 술·담배 가계소비지출 1조6천600억원… 웰빙 추세 반영

지난 1.4분기 국내 가계의 술.담배 소비가 17년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3월말까지 가계의 최종소비지출 가운데 주류 및 담배의 지출액(실질, 계절조정)은 1조6천600억원으로 전분기에 비해 4.72%,작년동기에 비해 5.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기별 지출액으로는 지난 89년 3.4분기(1조6천100억원) 이후 무려 17년여만에 가장 적은 것이다. 특히 20세이상 성인 인구(통계청 추계)가 지난 89년 2천663만7천명명에서 올해3천636만8천명으로 1천만명 가까이 증가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1인당 술.담배 소비액은 당시에 비해서도 훨씬 적은 것이다. 가계의 술.담배 소비지출액은 외환위기 이전인 97년 7조5천300억원으로 사상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지난해 7조700억원으로 지난 90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진 데 이어 올들어서도 계속 감소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최근 들어 흡연율이 떨어지고 있는데다 술 소비도 과거에 비해 많이 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앞으로 이 같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민소득에서 주류 및 담배 지출액은 원칙적으로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술.담배는 제외하고 가계에서 직접 구입하는 부분만 해당되기 때문에 실제 소비액과는 차이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주류공업협회와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4월까지 맥주 출고량은 5천574만 상자(500㎖ 짜리 20병 기준)로 작년동기보다 7.27%나 줄었으며, 국내성인남성 흡연율은 지난 3월 현재 49.2%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술 소비 감소는 웰빙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데다 경기침체, 양극화에 더해 주5일 근무제 확대 등이 겹치면서 술을 덜 먹는 풍조가 생긴 결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