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소득 최상위-최하위 10% 계층 사교육비 격차 9.2배로

2003년 관련통계 작성후 최대폭

소득 최상위와 최하위 계층의 사교육비 격차가 9.2배로 벌어졌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가구 중 소득 상위 10%에 해당하는 10분위 계층의 월평균 보충교육비는 31만1,000원으로 소득 최하위 10%인 1분위 계층 3만4,000원의 9.2배에 달했다. 이런 격차는 전국가구의 가계수지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03년 이후 연간 기준으로 가장 크다. 전국가구 중 10분위와 1분위의 보충교육비 격차는 2003년 6.5배, 2004년 7.5배, 2005년 7.4배 등으로 전반적인 확대 추세에 있다. 보충교육비에는 학교의 보충수업비도 포함돼 있지만 입시ㆍ보습ㆍ예체능학원비, 개인 교습비, 독서실비 등 사교육 항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사교육비의 지출 추세를 분석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보충교육비에 납입금ㆍ교재비ㆍ문구비 등을 포함한 전체 교육비 지출은 10분위가 월평균 48만3,000원으로 1분위 6만9,000원의 7.0배를 기록했다. 도시근로자가구 중 소득 10분위의 지난해 월평균 보충교육비는 31만3,000원으로 1분위 4만8,000원의 6.6배에 달했다. 도시근로자가구 중 소득 10분위와 1분위의 보충교육비 격차는 2004년 7.5배에서 2005년 6.4배로 완화됐다가 지난해 다시 소폭 확대됐다. 전국가구를 대상으로 교육을 제외한 9개 소비 항목의 10분위와 1분위간 월평균 지출 격차를 보면 ▦교양ㆍ오락 7.4배 ▦피복ㆍ신발 6.6배 ▦가구집기ㆍ가사용품 5.7배 ▲이미용ㆍ장신구ㆍ잡비 등 기타소비지출 5.7배 ▦교통ㆍ통신 5.2배 ▦식료품 3.1배 ▦보건ㆍ의료 2.6배 ▦주거 2.2배 ▦광열ㆍ수도 1.8배 등이었다. 또 10분위의 소비지출 항목별 비중은 기타소비지출(21.4%)이 가장 컸고 식료품(20.6%), 교통ㆍ통신(18.9%), 교육(11.8%), 교양ㆍ오락(5.9%)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