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노후 막막… 실버취업자 는다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br>55~79세 취업자수 505만… 지난해 동월비 27만명 늘어 <br>청년 실업자는 13.5% 증가, 비정규직 늘어 고용質 악화


노인 인구 1,000만명 시대를 맞아 생활비 마련 등을 위해 재취업에 나서는 '실버 취업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년층은 저출산 여파로 인구가 줄었는데도 취업난은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층의 경우 첫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고 그나마 일자리를 구하더라도 단기 계약직이 많아진 반면 정규직은 줄었다. 통계청은 지난 5월 청년층(15~29세)과 고령층(55~79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고령자, 은퇴 이후에도 취업 전선 내몰려=통계청에 따르면 고령자들이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근속한 기간은 평균 19년9개월이었다. 그만둔 연령은 평균 만 53세에 불과했다. 자녀 교육 및 결혼 등으로 목돈이 들어가는 50대 초반에 평생직장을 떠난 것이다. 이 때문에 고령자 2명 가운데 1명은 은퇴 이후를 즐기지 못하고 취업 전선에 다시 뛰어들었다. 5월 현재 55~79세 고령층의 취업자 수는 505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7만2,000명 늘었다. 고령층의 고용률도 50.8%로 0.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일자리에서 은퇴할 나이인 65~79세의 고용률은 35.7%에 달했다. 부실한 노후 준비 등의 탓으로 노령층의 구직 의욕도 청년층 못지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고령층 취업자 가운데 20.1%(101만4,000명)가 지난 1년간 일자리를 구하러 다닌 적이 있고 미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실업자) 11.1%(54만6,000명) 역시 지난 1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체 고령자 58.5%는 장래에 일하기를 원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생활비에 보탬이 돼서(돈이 필요해서)'가 32.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하는 즐거움 때문에(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서)'가 20.8%였다. ◇청년층, 일자리 구해도 비정규직=5월 현재 청년층 인구는 961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만5,000명(1.1%) 줄었다. 하지만 극심한 취업난으로 실업자는 31만1,000명으로 3만7,000명(13.5%), 취업 준비자는 58만8,000명으로 4만8,000명(8.9%) 늘었다. 고용률은 40.9%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낮아졌지만 실업률은 0.9%포인트 증가한 7.3%로 조사됐다. 또 졸업을 미루고 휴학하는 청년도 늘었다. 고용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는 졸업ㆍ중퇴자 비중은 48%로 지난해 같은 달(48.6%)보다 낮아졌고 휴학생 비중은 6.6%로 지난해 같은 달(6.1%)보다 높아졌다. 또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은 11개월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개월 늘었다. 처음으로 잡은 일자리도 정규직은 줄고 단기 계약직이 증가해 고용의 질적 악화도 나타났다. 일자리의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으로 볼 수 있는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았으나 계속 근무 가능'한 일자리 비중이 60.6%로 1년 전(61.2%)보다 줄었지만 '1년 이하 계약' 비중은 20.2%(전년 동기 16.8%)로 늘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