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S-OIL, 정유ㆍ윤활 이어 석유화학도 최고 경쟁력 확보

■ S-OIL, 세계 최대 PX 생산시설 준공 <br>숙원사업에 1조3000억 투입<br>年 170만톤 생산시설 갖춰 20억弗 이상 수출증대 기대<br>사우디아람코ㆍ한진 공동경영 "산유-소비국 이상적 경협 모델"



S-OIL이 20일 울산시 울주군 온산공장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파라자일렌(PX) 생산시설을 준공했다. PX 생산시설은 S-OIL이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1조3,000억원을 투입한 '온산공장 확장 프로젝트'의 성과물이자 S-OIL의 오랜 숙원사업 가운데 하나다. S-OIL은 이번 생산시설 확충을 통해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을 2배 이상 늘려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인 연간 170만톤의 PX 생산시설을 갖추게 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특히 S-OIL의 대주주인 사우디아람코와 한진그룹의 공동 경영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한국 간 경제협력 및 민간교류 활성화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날 준공식에 이례적으로 이명박 대통령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리 알나이미 석유광물부 장관, S-OIL 대주주인 사우디아람코의 알 팔리 총재,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등 국내외에서 1,000여명이 참석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연간 20억달러 이상 수출증대 기대=이번 시설준공으로 S-OIL이 갖추게 된 PX 생산능력(연 170만톤)은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입을 수 있는 34억벌의 옷을 만들 수 있는 양이다. PX는 면화ㆍ양털 등 천연섬유의 대체재인 합성섬유 폴리에스터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며 전세계 수요의 80%를 차지하는 중국 등 아시아에서의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가격이 지난해 7월 톤당 847달러에서 9월 1,675달러까지 급등한 상태다. S-OIL은 이와 함께 연간 56만톤 규모의 벤젠도 생산할 수 있게 됐으며 원유정제능력도 하루 66만9,000배럴로 확대됐다. S-OIL은 신규 시설에서 생산된 제품을 해외시장에 판매해 연간 20억달러(약 2조2,830억원) 이상의 수출증대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미 4월 중순부터 신규 시설이 가동, S-OIL의 지난 2ㆍ4분기 석유화학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6%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852%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1990년대 이후 고부가가치 시설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정유 및 윤활 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한 S-OIL은 온산공장 확장 프로젝트를 통해 석유화학 부문에서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아흐메드 에이 수베이 S-OIL 대표는 "S-OIL은 이번 신규 시설을 통해 사업 분야를 더욱 다양하고 탄탄하게 구축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산유국ㆍ소비국 간 파트너십 결실=S-OIL 온산공장 확장 프로젝트는 산유국과 소비국 간 가장 이상적인 경제협력 케이스로 꼽히고 있다. 에너지ㆍ자원 외교에 적극 나서고 있는 이 대통령이 이날 준공식에 깜짝 방문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이 대통령은 현대건설 사장으로 재직하던 1987년 온산공장의 기초 토목공사를 담당하며 S-OIL과 인연을 맺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치사를 통해 "이번 준공식으로 우리나라 정유산업이 수입 원유 정제를 넘어 고부가가치 석유제품을 생산, 수출하는 산업으로 한층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S-OIL이야말로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소비국인 한국의 성공적인 경제협력 모델"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사우디아라비아 석유광물부의 수장 알나이미 장관은 1991년 당시 사우디아람코 총재로서 S-OIL에 4억달러를 투자해 '지상유전'으로 불리는 고도화시설 도입을 이끌며 S-OIL이 경쟁사들보다 10년 앞설 수 있는 토대를 만든 바 있다 알나이미 장관은 "S-OIL과 사우디아람코의 협력은 산유국과 소비국이 맺은 이상적인 경제 협력 모델로 아람코가 세계 각국에 투자하고 있는 수많은 프로젝트 가운데 가장 성공한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고 말했다.
●PX(PARAXYLENEㆍ파라자일렌)는

화학섬유인 폴리에스테르, 물을 담는 페트병 등의 기초원료다. LCD 화면 부착용 필름이나 음식 포장재 등을 만드는 데도 쓰이며, 원유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나프타를 전환해 생산한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