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동차·전자 등 일제 밀려들듯/정부 수입선 다변화 해제시 파장

◎2,000㏄이상 중대형차 가장타격/대형TV·자본재 등 덤핑 판칠듯국제통화기금(IMF)의 수입선다변화제도 폐지요구를 정부가 수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동차, 전자, 기계 등 수입선다변화 제도의 수혜를 입고 있는 관련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3일 관련업계는 아직까지 일본 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품목이 갑자기 수입선다변화 품목에서 해제될 경우 국내시장의 급속한 잠식등 파장이 불가피하다며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수입금지 대상품목은 지난 81년 9백24개에 이르렀으나 현재 1백13개가 남아 있다. 분야별로는 ▲기계류(28개품목) ▲전기전자(24개) ▲자동차(22개) ▲생활용품(18개) ▲선박 및 조선기자재(8개) ▲철강 및 기초화학소재(6개) ▲섬유류(5개) 등이다. 통상산업부관계자는 『수입선다변화에 대해 IMF가 구체적으로 어떤 요구를 해왔는지 현재로서는 통보받은 바 없지만 어차피 개방할 수밖에 없는게 현실』이라며 『기업들은 일본산에 맞설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보다 강도높은 경쟁력 제고방안을 추진하는 것만이 유일한 대책』이라고 말했다. ◇자동차=14개의 일본산 차량수입이 금지되고 있다. 국내업체들은 『선진국의 압력으로 수입을 자유화하면 국내 자동차산업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몽규현대자동차 회장, 김태구 대우자동차 회장, 박제혁 기아자동차 사장등 자동차협회 회장단은 관계당국에 조기해제에 대한 반대입장을 전달할 방침이다. 일본차의 수입이 자유화될 경우 중소형보다 2천㏄급 이상의 대형시장을 빠른 속도로 잠식할 것으로 보인다. 기아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소형차는 일본산이 국산차보다 2백60만∼4백20만원 가량 더 비싸고 중형차는 국산보다 7백만원 이상 비쌀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2천㏄급 이상 중대형은 가격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일본차의 고품질과 부품공급이 용이한 점도 국내시장을 빠르게 잠식할 수 있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일본차는 장기적으로는 대형차 뿐만 아니라 중소형차시장에서도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고급 가전시장을 중심으로 피해가 클 것으로 보고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일본업체들의 25인치 이상 대형TV가 본격적으로 수입되면서 가전시장침체속에 판매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미 올해초 미국이나 멕시코에서 생산된 일제 「소니 TV」의 대량 유입으로 가전업체가 공동대응에 나서는 등 초비상이 걸린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 수입선 다변화제도가 폐지되면 일단 고급제품군을 중심으로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그러나 내수시장에서 일본과의 강력한 경쟁을 통해 기술력과 마케팅에 대한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는 계기가 돼 앞으로 해외시장 진출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기계=산업기계 부문의 31개 품목이 보호받고 있어 다변화 조기해제에 따른 대비책 마련에 부심하고있다. 업계는 정부의 점진적인 다변화 품목 축소방침에 따라 상당수의 품목이 이미 다변화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국내업계의 독자적인 기술개발 노력으로 상당수의 품목이 일본제품과 겨룰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변화 품목으로 묶여있는 품목들은 대부분 일본제품과의 경쟁에서 뒤지고 있어 다변화 품목에서 조기에 해제될 경우 당장 업계가 내수시장을 잠식당하는 것은 물론 자본재 수지 악화도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기계공업진흥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업계는 수입선 다변화가 해제될 경우 가격과 기술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일본업계가 무더기 덤핑공세로 우리시장을 공략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와함께 현재 수입선 다변화 품목이라도 핵심부품이나 소재는 일본에서 공급받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다변화 해제이후에는 일본측이 핵심부품이나 소재의 공급, 기술이전을 중단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타=석유수지, 타이어, 양모직물, 도자기 제품, 선박용엔진과 내연기관 부품, 손목시계, 보온병 등 각종 공산품이 수입선다변화제도하에 보호를 받고 있으나 일본산과의 치열한 경쟁선상에 놓이게 됐다. 특히 중소기업들이 주로 생산하고 있는 일부 생활용품 부문에서는 일본산이 본격적으로 수입되기 시작하면 관련산업 전체가 존폐의 기로에 서게될 것으로 보인다.<이용택·한상복 기자>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