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상기온 탓 무·배추 출하 크게 줄어

밭떼기 방식 유통구조로<br>농작물 가격 탄력성 크고<br>기저효과도 값 상승 한몫


신선식품의 가격 오름세가 지난해와 비교해 '폭등' 수준을 보인 것과 관련, 전문가들은 지난 9월 말 배추파동을 불러온 이상기후 현상을 첫손가락에 꼽는다. 윤영채 농협중앙회 재배담당 차장은 "배추와 무의 경우 여름철 폭염과 태풍에다 초가을 늦장마도 겹쳐 전체 물량은 물론 상품성 있는 제품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유독 10월에 이어 11월에도 30~40%대의 높은 가격상승률이 지속되는 것은 기저효과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인창수 서울시 농수산물공사 과장은 "지난해에는 기상조건이 좋아 채소 값이 평년보다 유난히 낮았다"고 말했다. 실제 배추 1망(3포기)의 경우 최근 5개년 가격이 4,000~5,000원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최저 2,600원으로 '정상적인 가격'이 아니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채소류 작황부진이 겹쳐 통계상 가격강세가 두드러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터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한 부분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올해 기상이변의 여파가 전세계를 휩쓴 와중에 우리나라가 유독 취약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김병율 농촌경제연구원 미래정책연구실장은 "기상이변은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깊은데 지난 100년간 지구 온도가 0.7도 오르는 동안 우리나라 기온은 1.5도가 상승했다"며 "한국이 기상변화의 폭이 크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보다 작은 농업규모도 주원인이다. 국토가 넓은 중국ㆍ미국 같은 '농업 강대국'의 경우 한 지방에 흉년이 들어도 다른 지역의 작황이 좋으면 어느 정도 상쇄되지만 우리는 이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작황부진의 리스크를 감당할 중간상인이 다수 낀 '밭떼기' 방식의 유통구조가 대세로 굳어져 가격 탄력성을 더욱 크게 한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의 안정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김 실장은 "다른 나라의 경우 식량안보 차원에서 신선식품 가격관리에 정부가 적극 나선다"고 전했다. 실제 일본은 40년 넘게 정부 주도의 야채수급안정사업을 벌이며 별도 기금까지 마련, 주요 채소류 몇 개를 지정해 수급과 가격을 관리한다. 영국도 총리가 주도하는 식품안보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국가식품 시스템을 갖추고 농산물 가격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 기존 밭떼기를 대체하는 농협 차원의 계약재배 확대로 중간비용을 낮추고 이상기후 현상이 매년 심해지는 만큼 이를 감내할 수 있는 국산품종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한 농산물시장 개방은 가격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기태 한국협동조합연구소장은 "채소는 가격 대비 부피가 큰데다 소비자 입맛에 맞는 해외 품종이 부족하다"며 "특히 (기후변화에 민감한) 시금치 등 엽채류는 수입처가 마땅히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