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코스닥, ‘美업체 제휴’ 종목 투자 유의를

해외 시장 공략과 신제품 개발 등을 위해 미국 기업과 제휴하는 등록 기업들이 늘고 있다. 이들 종목들은 대부분 업무 제휴에 따른 실적향상 기대감으로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하지만 투자에 앞서▲해당 기업별로 제휴 분야에서의 업력 ▲업종의 성장 가능성 ▲투자 회임 기간 등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해야 낭패를 피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포시에스는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의 마케팅 대행업체인 IMS사와 비즈니스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포시에스는 발표 당일 110만주의 활발한 거래 끝에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다음날도 6.13% 상승했다. 예스테크놀로지도 음성인식 분야 신제품 개발을 목표로 IBM한국지사와 손잡았다는 발표 이후 연이틀 상한가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포시에스의 웹리포팅 제품인 `오즈`가 미 주정부 등에서 전자정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채택될 지 여부가 아직 미지수이고, 예스테크도 음성인식 콜센터 시장이 아직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신상품 개발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예스테크와 포시에스는 1ㆍ4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60%ㆍ15% 감소하는 등 실적도 좋지 않아 투자에 유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경우미르피아는 지난 13일 미국의 무선보안업체인 BlueSocket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국내에 무선보안장비를 공급한다고 발표한 뒤 당일 한때 7%이상 오르기도 했지만, 이 분야에서 업력이 거의 전무하고 실적이나 재무 상태도 열악하다는 우려와 함께 결국 2.11% 하락했다 한 증시전문가는 “통상 신생 분야의 연구개발 협력은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과 투자 회임기간이 길다는 점을, 단순 마케팅 협력은 제휴 업체가 충분한 업력이나 기술력을 확보했는 지 여부를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훈기자 shlee@sed.co.kr>

관련기사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