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저축은행 PF부실 대책… 공동펀드 조성등 검토

관련부처 막판 세부방안 조율<br>■ 이르면 연말에 PF·건설사 종합대책 나온다

이번주에 발표될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한 부실대책 세부 방안을 놓고 관련부처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현재 PF 부실 사업장 정상화를 위해 공동펀드를 조성하는 것을 비롯해 여러 방안을 놓고 막판 조율 중이다. 여기에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일 때 한시적으로 적기 시정 조치를 유예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여러 안을 놓고 최종 선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르면 이번주 중으로 최종 확정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금융당국은 대손 충당금 추가 적립과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구조조정 촉진도 진행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PF 사업장 899개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PF 대출 65조원의 12%가량인 1조5,000억원이 부실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성 자체에 문제가 있고 부실해진 ‘악화우려 사업장’으로 분류된 것이다. 또 사업성 등에 문제가 없는 ‘정상’ 사업장은 전체의 55%, 사업성은 있지만 일부 애로가 있는 ‘주의’ 사업장은 33%를 차지했다. 저축은행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추가 부실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는 상황이다. 지난 9월 말 현재 연체율은 16%대로 6월 말의 14.3%에서 2%포인트, 지난해 말의 11.4%에 비해서는 5%포인트가량 높아졌다. 건설경기 급락 여파로 아파트 미분양이 늘고 PF 사업장에 대한 자금회전이 막히면서 연체율이 상승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