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르노삼성 SM7의 경쟁차종은 SM5(?)

나중에 나온 SM5 판매 늘면서 SM7은 점차 판매 감소 추세

르노삼성차가 같은 플랫폼(차량의 기본틀)을 사용한 SM7과 SM5를 연이어 출시하면서 나중에 나온 SM5가 SM7 고객의 상당수를 흡수한것으로 분석됐다. 2일 르노삼성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1일 출시된 SM7은 출시 첫달 4천217대가 판매됐으나 올 1월에는 3천70대, 2월에는 2천800대(잠정치) 등으로 점차 판매량이 감소되는 추세다. 특히 출시 첫달 81%:19% 정도이던 2천300㏄와 3천500㏄의 판매비는 올 1월에는 73%:27%, 2월에는 65%:35%(잠정치) 등으로 갈수록 2천300㏄의 판매비중이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월말 2천㏄급인 SM5가 출시되면서 배기량이 비슷한 SM7 2천300㏄ 잠재고객이 SM5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월25일 출시된 SM5는 출시 첫달에만 1천687대가 팔렸으며 2월에는 3천400대가 팔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모두 4가지 모델이 있는 SM5는 판매가격이 1천770만~2천110만원(자동변속기 기준)으로 2천440만~2천730만원대인 SM7 2.3 모델에 비해 가격이 300만~1천만원 가량싸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언뜻 구분이 잘 안가는 두 차종 중 굳이 비싼 비용을 지불하면서 SM7 2.3 모델을 사느니 적은 비용으로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는 SM5를 사는쪽이 낫다는 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최근 SM5를 구입한 이모(35.회사원.서울 광장동)씨는 "당초 SM7 2.3 모델을 사려다가 조금만 기다리면 뉴 SM5가 나온다는 소식을 접하고 생각을 바꿨다"면서 "성능과 디자인은 거의 비슷한데 가격은 훨씬 싸 SM5를 사게 됐다"고 말했다. SM7과 SM5는 같은 닛산 티아나의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라디에이터 그릴과 헤드램프 모양, 유선형의 숄더라인(어깨선), 뒷면의 미등 모양 등이 매우 흡사해 출시 전부터 `닮은꼴' 논란을 빚어왔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SM7 2.3을 사려다가 SM5를 사는 경우가 상당수 있는 것같다"면서 "비록 두 차종이 닮은 측면이 있으나 엔진과 옵션, 튜닝, 서스펜션 등에서 차이가 있는 만큼 선택은 고객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 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