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30일 기존 세슘원자시계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대한민국 표준시계 ‘KRISS-1’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KRISS-1은 세슘원자 복사선의 고유 진동수를 기준으로 시간을 측정하며 ‘1차 주파수 표준기’로 사용된다. 1차 주파수 표준기는 미국ㆍ프랑스ㆍ독일 등 6개 선진국만이 개발ㆍ보유하고 있다.
KRISS-1을 개발한 시간주파수연구실의 권택용 박사는 “지난 10년간의 연구를 통해 100% 자체개발했으며 도입ㆍ운영 중인 9대의 세슘원자시계의 오차 보정을 자체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정광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은 “KRISS-1 개발로 우리나라는 진정한 의미의 시간원기라 할 수 있는 초(1초)의 정의를 실현하는 1차 주파수 표준기를 갖게 됐다”며 “현재 진행 중인 KRISS-1 국제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국제 원자시 생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표준연은 선진국에서 수입한 4대의 수소 메이저와 5대의 세슘원자시계 등 총 9대의 원자시계를 이용해 한국의 표준시를 측정해왔다. 하지만 기존의 세슘원자시계는 1초의 정확한 값을 정의하는 데 이용하는 세슘원자 복사선의 고유 진동수가 자기장ㆍ전기장ㆍ빛ㆍ온도ㆍ중력 등 주변의 물리량에 의해 영향을 받아 변화하기 때문에 1차 주파수 표준기와 비교해 보정해줌으로써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표준연구원은 KRISS-1의 성능 개선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이 기술을 위성탑재형 원자시계, 기존과 다른 레이저형 소형 원자시계, 칩 크기의 초소형 원자시계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