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폐비닐의 재탄생

市, 염소제거 재활용 기술 개발<br>라면봉지, 고급플라스틱으로

라면이나 과자 봉지 등 폐비닐이 고급 플라스틱 재생원료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폐비닐을 친환경 청정 재생원료로 만드는 제조기술을 에너지기술연구원 용역을 통해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기술의 핵심은 폐비닐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염소는 폐비닐 재활용 과정에서 순도와 강도를 떨어뜨리고 유독가스를 배출하게 돼 그동안 재활용의 걸림돌이 됐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이번 기술로 27%에 불과했던 폐비닐 재활용률을 이론적으로 100%까지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며 "그동안 폐비닐을 재활용해 배수로통이나 빗물받이밖에 못 만들었지만 앞으로는 고급 원료로 쓸 수 있게 돼 경제적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시는 우선 성동구 재활용선별장에 시범생산 시설을 설치하고 이르면 올해 안에 폐비닐로 만든 플라스틱 원료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연간 3만톤 규모의 폐비닐 재생설비가 설치될 경우 약 40억원의 소각ㆍ매립비용 절감과 20억원의 원료 판매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2010년 서울시 일반주택에서 발생한 폐비닐류량은 8만톤에 달했으며 공동주택과 사업장까지 더할 경우 약 22만톤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